하멜이 평가한 17세기 조선
컨텐츠 정보
- 273 조회
-
목록
본문
지리적 위치
우리가 코레아라고 부르는 이 나라는 북위 34도에서 44도 사이에 있으며 남북의 길이는 150밀렌이다.
이 나라는 8도로 나누어져있으며 360개의 마을과 산이나 해안의 요새들이 많이 있다.
이 나라 주변에는 암초가 많으며 남반부에서는 쌀,잡곡,목화가 풍부하다. 이 나라의 동남쪽은 일본과 가까워 부산과 오사카의 거리는 25밀렌밖에 되지 않는다.
기후와 농업
코레아에서 중국으로 가려면 주로 배를 이용한다. 겨울에는 혹독한 추위로 여름에는 맹수들 때문에 산맥을 통과하는것이 매우 위험하다. 우리가 있었던 1662년에는 추위가 굉장하여 집과 나무가 다 파묻힐 정도였다. 북쪽 주민들은 주로 보리밥을 먹는다. 남쪽과는 달리 그곳에선 벼가 자라지 않기때문이다. 북쪽 지역은 남쪽과 달리 음식이 초라하며 비참하게 지낸다. 다만 이 지역에서는 인삼이 많이 나서 일본, 중국에 수출을한다.
육군
나라를 지키기 위해 도성에는 기병 수천 보병 수천이 있습니다.
각 도에서는 7년에 1번 왕궁을 경비할 자유민을 도성에 올려보내며 기간은 1년이다.
각 도에는 장군이 있으며 그밑에 대령들이 있다. 대령들 밑에는 각 마을을 다스리는 대위들이 존재한다.
기병은 갑옷과 투구를 쓰는데 그들이 갖고 다니는 무기로 칼,화살, 도리깨(편곤)가 있다...
보병은 50발의 총알과 거기에 쓸 화약을 소지해야 한다.
우리가 서울에서 복무할때 화약을 충분히 소지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볼기를 5개씩 맞기도 했다.
각 마을의 승려들은 유사시 승병으로 활약하며 승병들은 이 나라에서 우수한 병사로 간주된다.
수군
3면이 바다인 코리아의 각 고을은 전선 1척과 수병,탄약들을 준비해두어야 한다.
코리아의 전선은 갑판이 2개이며 노가 24개가 달려있다. 노 하나에 5명의 노수가 배치된다. 총 승무원은 200명에서 300명이다.
각 도에는 수병을 훈련시키는 제독이 있고, 제독들은 총 제독(삼도수군통제사)의 명령을 받는데, 총 제독이 수군 훈련을 검열한다.
그러나 일본으로 가던 영궁,포르투갈의 배가 코레아 해안에 표류하면 코레시안 전선이 배를 나포하려고 시도하지만 격퇴당하는 경우가 많다.
국왕의 수입과 세금
국왕은 십일조를 저장하는 창고(환곡)가 있으며 백성들에게 농번기에 곡물을 대여해주며 10%의 이자를 받는다.
또한 추수때 정부에서는 백성들에거 10%의 세금을 징수한다.
병역을 이행하지 않는 사람은 3달씩 부역을 나가야한다. 이들은 각종 사역을 진행한다.
이 나라에 그 밖의 세금과 의무는 없습니다.
여행과 접대
길을 따라 여행하다가 보면 아무 집이나 들어가면 음식을 내놓는다.
집집마다 순번을 정해 나그네를 대접하는데 이에 대해 어느 집도 군소리를 하지 않는다.
서울로 가는 큰길에는 관리나 평민이 묵는 주막집들이 있으며, 귀족이나 공무를 위해서는 관청에서 머물 수 있다.
이 때문인지 나그네들이 묵을 수 없는 여관같은 것은 없습니다.
교육
양반이나 잘사는사람들은 자식 교육에 신경을 많이 쓰며, 어릴 때부터 글공부를 시킨다.
이건 이 민족이 가장 중시하는 일입니다.
아이들은 옛 성현들이 어떻게 하여 지위와 명예를 얻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자랍니다.
각 마을에는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사람들을 추모하는 건물이 있으며, 이곳에는 옛글들이 보관되며 양반들은 그곳에서 소리를 내
어 책읽는 연습을한다.
각 도에서는 매년 시험을 치르는데 시험관이 뛰어난 인재를 국왕에 보고한다. 정부에서도 시험을 1년에 1번씩 치르는데 응시자들이
전국에서 몰려든다.
시험에 통과한 사람들은 합격증서를 받는데 사람들이 부러워 하는 증서이다.
시험에 합격하면 잔치를 배푸는데 비용이 많이 들어가 탕진하는 경우가 많다.
부모들은 자기 아들이 과거시험에 합격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 만족하며 자신들이 희생한 보람을 느낀다.
부모는 자식을 소중히 여기며 자식도 부모를 공경한다. 그러나 종들은 이와 달리 자기 자식들을 거의 돌보지 않는데, 그 이유는 자식
이 일할 나이가 되면 주인이 데려가 버린다는 사실을 알기 때문이다.
출처 - 하멜표류기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