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선진국들 월세가 미쳐돌아가는 이유

컨텐츠 정보

본문

17445055200846.jpg

 
 
BBC에서 어제  호주의 주거비 폭등으로 인한 호주 서민과 중산층의 경제난에 대 해 다룬바 있음. 매매가와 월세등 주거비가 너무 폭등해 일반인들이 고통받고 있다는것 .
 
1744505520139.jpg

[ 호주 중산층 월급 520만원의 52% 인 270만원이 월세로 나간다는 가디언지 기사 ]
 
그 결과 호주 시민들의 최우선 이슈는 주거비를 어떻게든 해결해달라는것 . 그 기대 에 부응해 호주 양대 정당도 월세 해결 공약을 내걸음.
 
그러나, 현재  이런 주거비 폭등은 호주뿐 아니라 캐나다, 유럽, 미국 까지 대 부분 선진국에서 공통적으로 벌어진일이라 해결난망이라 하는데 이유는 아래와 같음.
 
 
1. 한정 재화
 
17445055202058.jpg

 
 
인간이 문명을 세운 이래 여러가지 업적을 이루어내고 이전에는 귀금속보다 귀했던 향신료등도 대 량양산으로 가능해졌지만 하나 못 하는게 있음. 지구에 존재하는 땅은 새로 못 만든단거임.
 
물론 간척등 소규모로 한다만 그것 도 엄밀히 말해 바닷물을 빼내는거라 아예 없는 땅을 새로 만들어내는것 도 아니고. 
 
공급이 사실상 변동 하지 않는 재화란거임. 그런데 인구가 증가하면 할수록 그 수요는 증가할수 밖에 없고 그렇기에 과거 부터 지금까지 수많은 국가들이 땅을 그토록 중요하게 여긴거. 인간이 존재하기전부터 있던 영속적 재화니까.
 
17445055202526.jpg

[ 세계 농경지: 녹색일수록 경작 비율이 높음 ]
 
그런데 이런 토지에서도 지나치게 춥거나 또는 덥거나 혹은 정글이나 산맥등 사실상 사람 이 대 규모로 거주 불가능한 지역 은 제외됨.
 
그리고 사람 이 살 수 있는 지역 에서도 발전된 인프라와 일자리등이 없는 지역 은 사실상 또 부동 산으로서 크게 가치가 없음. 사람 들이 그런데 살길 원하지 않으니까. 사실 막말로 한국 도 지방 에 집 싼곳은 많지. 하지만 살길 원하지 않으니까 문제고. 
 
사실 그렇기에 땅이 그리 거대 한 캐나다나 호주 같은 나라들도 주거비로 고생하는것 . 땅이 한국  수십배여도 살려는곳은 대 도시 몇곳에 제한되기 때문.
 
17445055202881.jpg

 
 
즉 다시 말해 진짜  문제는 정말 살 곳 자체가 없다기보다 양질의 일자리와 현대 적 인프라를 누릴수 있으면서 살 수 있는곳이 없고 비싸다는거임.
 
그리고 그건 어쩌면 당연한거지. 내눈에 이쁘면 남눈에도 이쁘다고 모두가 그런곳을 원하고 가격은 그런 수요의 합이니까. 집주인들은 그 수요만큼 월세를 올림. 
 
이게 단순히 공동 주택을 늘린다고 집값이나 월세가 안 잡힌다는 이유기도 하고. 애초에 자기가 거주할려는곳이 아닌데 집이 많고 싸봐야 무슨 의미가 있겠음?
 
17445055203274.jpg

[ 전세가 사라지며 폭증중인 월세 ]
 
 
정부가 강제개입해 물가를 조정한다? 그러면 그런 규제 정책 에 대 응해 극단적으로는 월세를 안  내놓기에 공급이 더 쪼그라들며 가격은 더 오름.
 
그나마 한국 은 월세 대 신 다른 선택지인 전세가 있어서 월세 상승의 한계가 있었지만 다른 국가들은 전세가 없어서 집을 구매하거나 or 월세를 살거나 말고는 선택지가 없음.
 
즉 근본적으로 보자면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이 공급을 늘릴 방법  또한 여러 난항이 존재.
 
 
2. 공급 부족
 
17445055203679.jpg

 
 
어떤 재화든 가격을 떨어뜨리는 가장 확실한 방법 은 희소성을 떨어뜨리는거임. 윗문단에서 말한 향신료부터 한 때 비싼 과일로 취급받았던 바나나까지 가격이 싸진 이유는 간단함.
 
플랜테이션등을 통해 대 량으로 찍어냈고 풀린 물량에 따라 가격이 내려갔음. 그러나 위에서 말했듯  사람  10만명도 안 사는 중소도시에 아파트 아무리 지어봐야 의미가 없음. 
 
중요한건 사람 들이 살기 원하는곳에 공급을 많이 해야한다는건데, 실제 효과를 본게 2000년 대 후반 2010년 대 초 서울 에 부동 산을 대 량으로 공급한것 이였고.
 
17445055204095.jpg

[ 영국 월급 vs 월세 가격 ]
 
실제 지난 25년 간 유의미하게 서울  집값이 잡힌 유일한 시절 임. 누군가는 금융위기발이라고도 하나, 금융위기 이후에도 돈  풀었던 선진국들은 그 이전보다 더 오름.
 
왜냐면 이 금융위기를 극복한다고 양적완화로 돈 을 풀고, 풀고 또 풀었기 때문. 이렇게 해서 경제가 붕괴하는거를 막아내긴 했으나 다른 문제가 발생함. 
 
자산과 재화는 그대 로인 상황 에서 일본 처럼 디플레이션이 되는걸 막기 위해 차 입등 여러 수단으로 돈 을 풀자 다시 자산 가격이 지나치게 올라가기 시작 했단거임. 소득은 정체 하는데.
 
 
3. 통화 팽창
 
1744505520649.png

[1980년 대 까지만 해도 월세는 프랑스 월급의 10% 대 였으나 지금은 지방 은 30% 대 , 파리는 월급 45%로 오름]
 
첫문단에서 말했듯 이 선진국들 월세는 한국  기준  비싸긴 했음. 이전에도. 그러나 1990년 대 -2000년 대 초까지만해도 중소도시의 경우 월급의 20% 대 에서 대 도시의 경우 30% 대  중반이였음.
 
물론 이도 전세로 인해 저렴한 월세에 익숙한 한국 기준  비싸지만 그럭저럭 견딜만한 수준 은 되는 수치였음. 
 
17445055206795.jpg

 
 
그러나 위에서 말한 지나친 양적완화로 돈 이 너무 많이 풀리면서 그 넘쳐나는 돈 이 부동 산과 주식 으로 흘러들어가며 문제가 생김.
 
위에서 말했듯  말 그대 로 돈 만 풀렸지, 사람 들이 살고 싶어하는 런던, 파리, 뉴욕, 시드니, 토론토 등의 일자리 많고 인프라 있는 대 도시의 신규 주택량은 따라가질 못 했음.
 
17445055207496.jpg

[ 2008년  이후 프랑스 소득 상승률은 1800년 대 보다 낮음 ]
 
게다가 자산 가격이 올라간다고 자신이 일하는 기업 과 분야인 산업의 생산성에서 결정되는 월급이 오르는건 아니니 자기가 받는 월급은 거의 안 올랐는데 파리, 암스테르담등 유럽 대 도시 월세는 200-300만원이 예사가 되버림.
 
17445055207958.jpg

 
 
그래서 결국 자기가 받는 월급으론 버티지 못 해 일자리를다운그레이드 하고 돈 을 더 적게 받는 곳이라도 월세가 더 싼곳으로 갔음.
 
그러나 자기가 그 생각을 하면 남들도 그 생각을 하기 때문에 그런 중소도시 심지어 허허벌판  깡촌조차 도 수요가 올라가 월세가 150만원 200만원으로 올라감.
 
17445055208346.jpg

 
그렇게 되어 서구권에선 일본  주거비가 왜 이렇게 싸냐며 놀라워함. 물론 한국  기준 에서 도쿄 월세는 월급 30-35% 를 내는 비싼축에 속함.
 
그러나, 미국 , 영국, 유럽, 호주, 캐나다 까지 어지간한 도시는 월급 40-60% 를 월세로 내는게 기본이고 누리는 인프라는 도쿄보다도 못 한 수준 이 많기 때문. 
 
17445055219184.jpg
 
실제로프랑스에서 ' 이상적인 월세 가격 ' 은 월급의 35% 정도거든. 지금 파리 월세가 월급 45% 가 넘어가니까. 근데 일본 은 이상적 월세랑 비슷하거나 그보다 낮기에 서구권 기준 에서는 매우 싸다고 느껴지는것 .
 
그리고 이 일본 이라고 특별한 마법이 있어서 그럴리는 없고, 일본 은 부동 산 버블 붕괴와 함께 디플레 악순환이 너무 심해 나중에 하는 아베노믹스도 안 먹힐 정도여서 그랬던것 .
 
17445055219494.jpg

 
 
그래서 실제로 그 도쿄 부동 산조차  이전 가격으로 회복하기까지 수십년 이 걸렸음. 그러나 코로나때 한번에 말도 안 되게 돈 을 풀자 다시 부동 산 가격이 폭등하며 일본  서민들은 팍팍하다는 소리를 연발중이고.
 
결론적으로 선진국의 월세등 주거비 폭등은 안 그래도 초저성장과 세계화로 소득 증가율은 자산 증가율을 못 따라가는 상황 에서 건축 규제로 공급은 제한하고, 통화팽창으로 풀리는 돈 이 부동 산등 자산시장으로 유입된 결과란것 .
 
17445055219858.jpg

 
[ 월세 상승률 연 9% ]
 
그리고 이런 필수재인 주거와 최근엔 식료품등의 물가 폭등까지 겹치며 이전 한국 이 생각하던 20대  초중반에 독립해 사는 서구권 젊은이들은 사실상 옛말이 되버렸고 부모 집에 빌붙는 캥거루족 비율 폭등해 사회 정치문제까지 되고 있음.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54,209 / 1 페이지
RSS
번호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