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보드에서 사라진, 사라져가는 커넥터 포트들
컨텐츠 정보
- 1 조회
-
목록
본문
P8 and P9 connector
ATX로 넘어가기 이전, AT규격 메인보드에서 사용했던 전원 공급 커넥터 규격입니다.
6핀 플러그 소켓 2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P8, P9 커넥터로 불리기도 합니다. 두 커넥터를 서로 구별하는것 이 쉽지 않아 많은 사람 들이 잘 못 연결해 보드를 손상시키기도 했습니다. 꽂는 위치를 조심해야 하며 검은색 선(Ground)이 서로 인접하게 결합해야 합니다.
DIN 5핀
구형 키보드에 주로 쓰인 단자. 독일공업규격위원회(Deutsches Institute für Normung)에서 제정해서 DIN으로 불렸고, 이후 AT컴퓨터에 쓰여서 AT단자라고도 불립니다. 이후 PS/2 단자로 완전히 교체됩니다. 다행히 PS/2포트와 신호규격이 동 일해 단순 변환젠더만으로도 PS/2포트와 호환이 가능해 구형 키보드를 사용하는데에 문제없습니다.
ISA
이미 사라진 ISA, 아이사 슬롯. ISA 버스(Industrial Standard Architecture Bus)의 확장 슬롯으로, 일반적으로 검은색이며 길이는 PCI 슬롯보다 깁니다. 대 게 메인보드 제일 아래 쪽에 위치해 있다. 작동 클럭은 8MHz 정도이고 16비트 슬롯이기 때문에 최대 전송률은 16MB/s가 됩니다. 그래픽카드, 사운드카드, 랜카드 등등 여러 기능 을 가진 카드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ISA 슬롯의 단점으로 CPU 리소스를 너무 많이 사용하며 데이터 전송 대 역 폭이 너무 작습니다. 때문에 이 슬롯은 이미 도태되었으며, 지금은 매우 구형 메인보드에서나 간간히 ISA 슬롯을 볼 수 있습니다. ISA 슬롯의 소실에는 당시 사운드 카드의 제왕이었던 크레에이티브 사운드 블래스터 AWE64 골드의 몰락도 한몫 했었는데, 많은 유저들이 이 막강한 사운드 카드를 계속 사용하기 위해서 ISA 슬롯이 있는 메인보드를 선택했었지만, 나중에 드라이버 개발이 중지되자 계속 사용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ISA 슬롯의 확장으로 VESA 로컬 버스(VSB) 슬롯이 존재합니다. ISA 버스 밑에 MCA 단자를 추가하고 거기에 i486의 메모리 버스를 바로 연결하는 구조로 ISA 버스가 포트 맵 입출력(port-mapped I/O)과 인터럽트를 MCA 단자 부분이 메모리 맵 입출력(memory-mapped I/O)과 DMA를 담당합니다.
ISA 버스의 제한된 속도를 보완하고자 임시방편으로 설계된 것 으로 i486 보드에서 흔히 사용되었으나 나중에 PCI 버스로 대 체됩니다.
AMR
1998년 에 인텔이 주도적으로 개발을 시작 하고 다른 관련 회사 들이 공동 으로 제정한 공업 표준으로, 디지털 신호와 모의 신호를 전환하는 회로를 회로 카드에 장착한 것 입니다.
왜냐하면 그 전까지 모의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메인보드에 같이 놓았을 경우, 서로 간섭 현상을 일으켰기 때문... 반면 AMR 스펙은 사운드 카드와 모뎀 기능 을 메인보드에 내장하고, 동 시에 디지털 신호와 모의 신호를 격리시켜, 상호 간섭을 없앴습니다. 이렇게 하여 제조 단가를 낮추면서도 사운드카드와 모뎀 시스템의 기능 에 생기는 제한을 해결했습니다.
조절 회로와 디지털 회로가 칩이나 메인보드에 비교적 내장하기 쉬운 반면, 입/출력 포트와 모의 회로를 각종 원인 때문에(전자파 간섭, 전기 접속 포트의 다양함) 메인보드에 내장하기 힘듭니다. 따라서 인텔은 AMR을 개발한 것 이며, 그 목적은 모의 회로와 I/O 포트 회로만 AMR 카드로 빼내고, 다른 부품은 메인보드의 칩에 내장시킨 것 입니다.
AMR 슬롯은 일반적으로 PCI 슬롯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길이가 짧고(5cm 정도) 색상은 보통 갈색입니다. 여기에 AMR 사운드 카드나 AMR 모뎀을 장착할 수 있지만, 지금은 절대 다수의 메인보드에 AC 97 사운드를 내장하고 있어 AMR 슬롯은 AMR 모뎀을 장착하는 데만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AMR 모뎀은 일반적인 내장 모뎀보다 CPU 리소스를 더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그 효과가 그리 좋지 못 했을 뿐만 아니라, 그 가격은 내장형 모뎀보다 별로 싸지도 않아, 결국 CNR에게 급격하게 대 체되게 됩니다.
CNR
광대 역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따른 요구에 부응하려면, AMR 스펙으로는 부족하였기에 인텔은 CNR(Communication Network Riser) 표준을 발표했습니다. AMR과 비교하여 새로운 CNR 표준은 응용 범위가 더 넓어져 전용 CNR 모뎀만 사용하는데 쓴게 아니라, 가정 전화 네트워크(홈 PNA)에도 사용할 수 있고, PC 2000 표준의 플러그 앤 플레이를 지원합니다. 제일 중요한 것 은 10/100MB의 지역 네트워크 기능 을 지원하고, AC 97과 호환되는 AC-Link, SMBus 포트와 USB(1.1과 2.0) 포트를 지원한다는 것 입니다. 그 밖에도 CNR은 ATX, 마이크로 ATX, 플렉스 ATX 폼펙터를 지원하지만 NLC 폼펙터 메인보드는 지원하지 않았습니다(AMR에서는 지원했음).
외관은 CNR 슬롯도 AMR 슬롯과 비슷하며 색깔도 역 시 갈색입니다. 다만 길이가 좀 더 길고 핀 배열이 다릅니다. 따라서 AMR 슬롯과 CNR 슬롯은 서로 호환되지 않습니다. CNR은 오디오 CNR, 모뎀 CNR, USB 허브 CNR, 홈 PNA CNR, 랜 NCR 등의 카드가 있습니다. 하지만 시장에서 CNR의 지원이 충분하지 않고 상응하는 제품 도 매우 적었기 때문에 대 다수 메인보드에서 CNR 슬롯은 무용지물이 되었습니다.
ACR
ACR은 Advanced Communication Riser의 줄임말로, 비아(VIA)가 인텔의 AMR에 대 항하기 위해 AMD, 3COM, Lucent, 모토롤라, NVIDIA,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등의 세계 각지의 유명 회사 들과 같이 2001년 6월에 출시한 오픈 소스 기술 표준이며, 그 목적은 네트워크 통신 방면에서의 기능 을 확장하기 위해서입니다. ACR은 AMR과 완전히 호환될 뿐만 아니라 완전한 네트워크와 통신 표준 포트를 정의하고 있기도 합니다. ACR 슬롯 카드는 모뎀, 랜(지역 네트워크), 홈 PNA, 광대 역 네트워크(ADSL, 케이블 모뎀), 무선 네트워크와 멀티 채널 사운드 카드 등에 쓰일 수 있습니다.
ACR 슬롯은 대 부분 원래 ISA 슬롯이 있던 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ACR 슬롯은 120핀 설계이며 일반 PCI 슬롯과 호환되지만 그 방향은 완전히 반대 라서 두 종류의 카드가 서로 섞여서 장착되는 것 을 막습니다. ACR과 CNR 표준은 모두 AMR 표준의 내용을 전부 가지고 있지만, 둘 사이는 서로 호환이 되지 않을 뿐더러 서로 배척하는 관계입니다(시장 경쟁의 단점). 두 슬롯의 제일 큰 차이 점이라면 CNR이 원래 기초 구조를 완전히 포기하여 AMR 표준과의 호환을 완전히 포기한 반면, ACR은 여러 기능 을 추가함과 동 시에 AMR와의 호환성을 그대 로 유지하고 있다는 것 입니다. 하지만 CNR과 마찬가지로 시장에서 ACR의 지원이 역 시 많지 않고 제품 도 매우 적어 대 다수의 ACR 슬롯이 사라지게 됩니다.
패러럴 포트
프린터를 연결하는데 사용했던 패러럴 포트(Parallel Port)로서 25핀 D형 포트입니다. LPT 포트라고도 합니다. 무릇 '패러럴(병행)' 포트라 하면 8비트 데이터를 동 시에 병렬로 전송하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대 폭 높이지만, 병렬 전송의 회로 길이에 큰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길이가 길어질수록 간섭이 더 늘어나고 데이터에 에러가 쉽게 생기기 때문입니다.
패러럴 포트는 당시에 여러 용도에 쓰였습니다. 제일 많이 쓰인 것 은 프린터이고, 다른 장치라면 집 드라이브, 스캐너, 초창기 사운드 카드, 구형 캠, EPROM 프로그램, 에뮬레이터 등의 장치에도 쓰였습니다.
패러럴 포트의 작동 모드는 다음 3가지가 있습니다.
SPP(Standard Parallel Port). 표준 포트로서 초창기에 쓰였던 것 입니다. 거의 모든 패러럴 외장 기기에서 이 모드를 지원합니다.
EPP(Enhanced Parallel Prot). 개선된 고속 포트로서 SPP를 기초로 하여 더 발전시킨 신형 작동 모드이며, 제일 많이 쓰이는 패러럴 포트 작동 모드이기도 합니다. 현재 시장에서 쓰이는 대 다수의 프린터, 스캐너 등은 모두 EPP를 지원합니다.
ECP(Extended Capability Port). 확장 기능 포트입니다. 현재 쓰이는 패러럴 포트 중에서 제일 개선된 것 이지만 호환성 문제가 제일 많습니다. 만약 외장 장치가 ECP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이 모드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USB 디바이스의 대 규모 보급에 따라 패러럴 포트는 갈수록 사용이 줄어들고 있으며, I/O 포트의 크기가 너무 크기 때문에 USB 포트를 대 신 사용하고 있습니다.
시리얼 포트
시리얼 포트(Serial Port)는 COM 포트라고도 합니다. 전기 표준과 그 라이센스에 따라 RS-232-C, RS-422, RS485, USB 등을 포함합니다. RS-232-C, RS-422, RS-485 표준은 전기적 특성에 따른 스펙만 가지고 있으며, 접속 포트와 케이블에 대 한 프로토콜은 없습니다.
사실 USB 역 시 시리얼 포트와 마찬가지로 시리얼 버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USB는 현재 컴퓨터에서 제일 많이 쓰이는 접속 포트로서,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컴팩, IBM, NEC, Northern Telecom 등 여러 회사 들이 모여 개발해낸 신형 외장 연결 포트입니다. USB 포트는 속도가 빠르고 연결이 간단하며 외부 전원이 필요하지 않고, 1.1은 12MBps, 2.0은 480Mbps, 3.0은 4.8Gbps까지 가능합니다.
플로피 디스크 포트
현재 산업용 제품 외에는 사실상 플로피 디스크 포트가 메인보드에서 사라진 상태입니다. 하지만 플로피 디스크는 광학매체와 USB 드라이브의 등장 후에도 한동 안 초기 윈도우즈 2000과 윈도우즈 XP를 설치할때, 서드파티 하드디스크 컨트롤러 드라이버를 설치하기 위해서 꼭 필요했던 물건입니다.
윈도우즈 비스타의 발표 이후에는 하드디스크 컨트롤러 칩의 드라이버를 USB에서 직접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플로피 디스크의 수요가 더더욱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PS/2
1981년 에 IBM IBM PC/XT 키보드와 기타 표준을 발표했습니다. 당시에는 83키, 5핀 DIN 연결 커넥터와 간단한 시리얼 프로토콜을 사용했습니다. 실제로 첫번째의 키보드 스캐너는 본체에 키보드 명령이 가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1984년 에 IBM은 IBM AT 키보드 표준을 출시합니다. 이 표준은 84~101키를 사용하고 5핀 DIN 연결 커넥터와 쌍방향 시리얼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그 프로토콜은 2세트 키보드 스캐너에 8개의 본체에서 키보드 명령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1987년 에는 IBM이 다시 PS/2 키보드 포트 표준을 출시하는데, 여전히 84~101키였지만 6핀 미니 DIN 커넥터를 사용, 크기를 더 줄였으며, 여전히 쌍방향 시리얼 통신 프로토콜을 썼을 뿐만 아니라 3세트 키보드 스캐너를 선택할 수 있게 하여, 동 시에 17개 본체에서 키보드 명령을 받을 수 있게 하였습니다.
1개의 PS/2 포트만 남긴 메인보드.
비록 현재 대 다수의 키보드와 마우스가 모두 USB 포트를 사용하긴 하지만, 소수의 메인보드들만이 PS/2 포트를 완전히 포기하고 대 다수의 메인보드에는 아직까지도 남아 있습니다. USB 포트 대 비 장점으로 인터럽트 우선순위가 높은 규격이라 컴퓨터에 문제가 생겼을 때 프로그램 강제종료가 더 쉽고 무한 동 시입력 기능 을 구현하기가 쉽습니다. 해킹에도 좀 더 안 전한 편이기도 합니다. 다만 업데이트 가 이루어지지 않아 현 시대 에 쓰기에는 대 역 폭이 작아 펜 입력처럼 정밀한 입력을 위해 높은 데이터 대 역 폭을 요구하는 작업에는 힘듭니다. 그리고 PS/2 포트는 플러그 앤 플레이를 지원하지 않기에 머지않아 사라지게 될 것 입니다.
IDE 포트
1986년 pre-ATA부터 시작 해 1991년 ATA-1, 1994년 ATA-2, ... 1998년 에 40선에서 80선으로 변경 (ATA/ATAPI-5), 2000년 ATA/ATAPI-6 까지 나온 규격으로 구형 하드디스크, ODD가 주로 이 포트를 사용했습니다. (서버용으론 주로 SCSI)
하드디스크와 ODD가 SATA로 넘어가는 와중에도 한동 안 메인보드에서 SATA포트와 공존했지만 이제 M.2 포트까지 나온 마당에 이 포트를 볼 일은 거의 없을 겁니다.
AGP 슬롯
Accelerated Graphics Port (가속 그래픽 포트)
1996년 에 처음 발표, 1997년 에 등장 한 그래픽 카드 전용 단자.
엔비디아에선 RIVA 128부터, ATI에서는 Rage Pro 부터 채택되기 시작 했으며. 초기에는 겉모습 만 AGP일 뿐 내부 인터페이스는 PCI기반이라 AGP의 대 역 폭과 기능 을 온전히 사용할 수 없었지만 1998년 부터 네이티브 AGP타입 그래픽 카드가 등장 하기 시작 했습니다. 2004년 에 PCI-Express 타입 그래픽 카드가 등장 하면서 산업용으로나마 2012년 까지 출시되었던 PCI타입 그래픽카드보다 더 빨리 도태되었습니다.
최후 의 AGP그래픽 카드로 2007년 에 출시된 NVIDIA GeForce 7900GS AGP와 7950GT AGP, 2008년 9월에 출시된 AMD/ATi Radeon HD 4670 AGP, HD 4650 AGP, HD 4350 AGP 가 있습니다.
대 역 폭에 속도에 따라 1.0 버전의 1x, 2x 배속 규격, 2.0 버전의 4x 배속 규격, 3.0 버전의 8x 배속 규격이 존재합니다.
데이터 대 역 폭은 하프 듀플렉스 1배속 기준 으로 266MB/s로 PCI의 두배였고 마지막으로 나온 AGP 3.0(3.5) 8배속 기준 2133MB/s 였다. PCIe 1.0 기준 으로 1배속이 250MB/s, 16배속이 4GB/s여서 현재 기준 으로는 느린편입니다.
IEEE 1394
값비싼 SCSI를 대 체하고자 Apple이 중심이 되어 1980년 대 후반에 개발되기 시작 했으며 1995년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에서 등장 했습니다.
USB에 비해서 고속이며 3.0에 가서야 전이중 통신을 지원한 USB와 달리 초기부터 지원했습니다. 또한 낮은 CPU 점유율로 인해 안 정적이고 데이지 체인 연결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결과적으로 USB만큼 대 중화되지 못 했습니다.
기기에 인터페이스를 장착하는 비용과 주변기기의 가격 모두 USB보다 비쌌으며, USB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그 차이 는 점차 심해져 갔기 때문입니다. USB 1.x 시절 에는 속도 차이 가 엄청났기에 저장장치와 같은 대 역 폭을 많이 쓰는 주변기기의 경우 IEEE1394의 비중이 있었으나 2.0이 등장 하면서 동 시기 IEEE1394와의 속도 차이 가 수 배 정도로 크게 줄어들고 상기되어 있듯 USB는 일반인들에게 널리 보급되었으나 IEEE1394는 그렇지 못 해 가격 차이 도 점점 벌어졌습니다.
이후 지속적인 CPU 기술의 발달과 함께 IEEE1394b(Firewire 800)보다 고속이면서 가격이 저렴한 USB 3.0이 등장 하면서 장점마저 대 폭 희석되었기 때문에 굳이 사용할 필요가 없어져 자연스레 경쟁에서 밀리게 되었습니다. 결국 대 체 대 상이었던 SCSI보다도 시장에서 먼저 도태되었습니다.
E-SATA
SATA포트의 외부 단자 버전.
USB 포트에 밀려서 잘 쓰이지 않으며 이 포트가 달려있는 외장하드케이스가 별로 없습니다. USB 2.0과 비교시 속도에 우위가 있는것 이 장점으로 사실상 SATA 포트에 연결한것 과 동 일한 속도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따로 전원을 공급할 수단이 필요하고 USB 3.0의 등장 으로 높은 대 역 폭을 가졌다는 장점도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전원공급 기능 도 있는 Powered e-SATA 규격도 있지만 지원 기기가 많지 않습니다.
SATA Express
2011년 에 처음 소개되어 2013년 에 최종 발표된 기존 SATA 3의 속도 제한을 넘어서기 위한 새 규격.
SATA Revision 3.2 규격의 일부로, 이름에서 볼 수 있듯 이 PCI-Express의 기술을 접목하여 고속 통신을 구현합니다. 기존 SATA 드라이브와의 호환성도 유지하며, 규격 상 최대 속도는 16Gbps(1600MB/s, SATA 3까지 사용하였던 8b/10b 인코딩 대 신 128b/130b를 사용함)에 이릅니다. 2014년 인텔 9 시리즈(Z97, H97, X99) 칩셋 기반의 메인보드부터 지원하기 시작 했으나 현재 출시된 제품 들은 아직 최대 8Gbps까지만 지원하는 듯 . AMD 제품 은 2017년 라이젠 시리즈와 함께 발표된 300 시리즈 칩셋의 메인보드부터 지원하기 시작 했습니다.
메인보드(호스트) 쪽 포트 구조가 특이한데 2개의 SATA 포트 왼쪽에 조그마한 포트가 하나 추가된 형태입니다. 이 3개의 포트들이 하나의 SATA Express 포트를 이룹니다. 그래서 SATA Express 드라이브를 이용할 때는 이 3개의 포트를 모두 이용하며, 기존의 SATA 드라이브를 이용할 때는 SATA 포트 중 하나에 연결하여 한 SATA Express 포트 당 총 2대 의 SATA 드라이브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특유의 구조로 인해 포트가 넓적해진 탓에 그리 많이 쓰이진 않았고 차 세대 포트 규격인 M.2로 넘어갔습니다.
PCI 슬롯
PCI는 인텔이 1991년 에 출시한 로컬 버스 표준으로, 표준에 따르면 본체에 10개의 PCI 표준 확장 카드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제일 처음에 나온 PCI 버스는 클럭 33MHz로 작동 하고 그 대 역 폭은 133MB/s(33MHz x 32비트/s)였기에 당시 CPU의 발전에 따른 수요를 만족할 수 있었습니다. 나중에 더 고성능이 필요하게 되면서 1993년 에 64비트 PCI 슬롯이 나왔는데 나중에 PCI 버스의 클럭이 66MHz로 올라가게 됩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것 은 32비트 33MHz PCI 버스이며, 64비트 PCI 버스는 서버 제품 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구조를 본다면 PCI는 CPU와 원래 시스템 버스 사이에 레벨 1 버스를 삽입하여, 구체적으로 한개의 브릿지 회로를 넣어 레벨 1의 관리를 하는 것 인데, 이를 통해 상/하 사이의 포트 프로토콜 데이터 전송을 실현합니다. 관리기는 신호 캐시를 제공하여 고클럭에서도 고성능을 보장하게 해주며 그래픽카드, 사운드카드, 랜카드, 모뎀 등의 장치를 연결하는데 적당합니다.
IDE와 마찬가지로 PCI 버스는 지난 몇년 간 사용해 왔지만 여전히 메인보드에 남아 있습니다. ISA 버스가 막 PCI 버스에게 대 체될때, 당시에 매우 적은 장치들만이 PCI 버스의 이론 대 역 폭의 극한인 133MB/s에 도달하였습니다. 나중에 그래픽카드의 성능이 발전하면서 출력에 제한이 걸리면서 AGP 버스가 나오게 된 것 이며, 나중에 나온 PCI-E 역 시 마찬가지입니다. 메인보드의 입장에서 본다면 대 부분의 기능 들이 메인보드 내장이 되고, 내장 설비들을 연결하는 부품들도 대 부분 PCI-E 버스로 바뀌었으니 PCI 슬롯을 쓸 일이 없게 되었습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