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부부가 전 재산 처분해 한국  원정출산한 이유 

컨텐츠 정보

본문

17194577711643.jpeg


1719457771453.jpeg


17194577718606.jpeg

 
부부는 앞서 세 아이를 잃었기 때문에 이번에 얻은 딸 에 대 한 애착이 더욱 컸다. 첫째는 2015 >년  11 >월 만삭에 3.5 >㎏으로 태어났지만, 장폐색 증세를 보이다 세 차 례 수술 끝에 사망했다. 2017 >년  11 >월 둘째가 찾아왔지만 첫째와 똑같은 증상을 보였다. 첫째를 허망하게 잃었던 부부는 몽골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립 모자병원에서 수술을 받고 산전 진찰도 성실히 받았지만, 둘째 역 시 하늘나라로 떠났다. 부부는 둘째 사망 이후 유전자 검사를 받았지만 별문제 없다는 진단결과가 나와 아이가 잘 못 된 원인도 알 수 없었다. >

2020 >년  찾아온 셋째는 임신 3개월도 안  돼 유산됐다. 부부는 이후 절망감에 빠져 출산을 포기했지만, 지난해 11 >월 예상치 못 하게 넷째가 찾아왔다. 장폐색증으로 아이가 재차  잘 못 될 수 있다는 걱정이 떠나지 않았지만, 부부는 한 번만 더 해보자고 결심했다. 2024 >년 이 용의 해인 만큼 왠지 건강할 거라는 기대 감도 있었다. >
 
하지만 현실 은 녹록지 않았다. 첫째와 둘째에게 나타난 증상이 '잔인하게도' 넷째에게 똑같이 나타났다. 그나마 다행인 건 초음파로 증상을 확인했다는 점이다. 아이를 세 차 례나 잃었던 부부는 몽골에서 아이를 출산하기 두려웠다. 부부는 친척 조카가 분당서울 대 병원에서 대 퇴부 골절 수술을 받고 만족해했던 기억 을 떠올렸다. 부부는 마지막이라는 심정으로 병원에 연락했다. 치료비가 만만치 않았지만, 집(5,000만 원)과 차 를 팔고 빚을 내면 감당할 수 있겠다 싶었다. >

아내는 5월 27일 분당서울 대 병원에서 첫 진료를 받았다. 초음파 검사 결과 태아의 장이 이상하게 늘어나 있었다. 태아의 변 때문에 장이 막혀 팽창돼 있던 것 이다. 의료진은 임신 상태를 최대 한 유지하면서 위급한 상황 이 닥치면 응급제왕절개 수술을 하기로 했다. 의료진은 이달 10일 실시한 초음파 검사 결과 태아에게 복수가 생긴 것 을 확인했다. 태아의 장에 구멍이 생겨 복막염으로 발전한 상황 이었다. 의료진은 다음 날 응급제왕절개 수술을 진행해 2㎏의 아이를 건강하게 꺼냈다. 임신 34주 만이었다. >
 
(중략) >
 
부부가 아직 납부하지 못 한 치료비는 5,000 >만 원 수준 이다. 한국  사람 이면 100 >만 원가량 지불하면 되지만, 이들에게는 '외국 인 수가'가 적용돼 병원비는 8,000 >만 원까지 늘어났다. 병원이 15 >% 감면해줘 부담은 조금 줄었지만, 몽골에서 들고 온 현금 2,300 >만 원으로는 턱없이 부족했다. 부부는 치료비를 내기 위해 집(5,000 >만 원)을 팔았고, 몽골에서 타던 차 량까지 내놨다. 한 달 정도 신생아 중환자실 신세를 져야 하기에, 병원비는 최대  2억  원까지 불어날 수도  있다. >

그럼에도 부부는 딸 이 건강을 되찾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행복  하다. 더 열심히 살아야 한다는 이유가 생겼고 열심히 살 수 있다는 자신감도 생겼다. '아이를 위해 집까지 판  이유가 뭐냐'는 질문에 부부는 이렇게 답했다. “한국 인과 몽골인 생각에 차이 가 있는 것  같아요. 몽골에선 아직도 후손을 남기는 걸 중요하게 생각해요. 아이가 생기면 아이 인생 까지 책 임져야 하는 만큼 더 열심히 살 수밖에 없어요. 계획하지 않은 아이가 생긴 걸 보면, 이번엔 꼭 잘 될 것  같았어요. 어렵게 찾아왔는데 포기할 수 없잖아요. 한국  의료 수준 을 몽골이 따라가지 못 하고, 이런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더 많은 몽골인이 누리지 못 하는 게 안 타까워요.” >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94,465 / 1 페이지
RSS
번호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