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많던 소아과 의사는 다 어디갔을까? 

컨텐츠 정보

본문

사회/경제적인 이야기(?)라 생각하고 써보겠습니다.


<세줄요약> >


1. 실제 소아 인구가 반토막날 동 안  소아과 전문의는 계속 늘었다.

2. 문제는 소아과 전문의의 36%가 소아진료를 포기했다.

3. 소아를 보던 병원들도 경영난으로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개요 >


소아과에 대 해선 항상 나오는 말이 있습니다. '오픈런' >

소아과 의사가 너무 부족하다, 소아과 의사를 늘려야하는 증거로 쓰이는 현상이기도 합니다.


그러면 소아과 의사가 줄어든 걸까요?

아닙니다.


1.소아 인구는 반토막났고 소아과 의사는 늘었다. >

17446833622498.png

(출처: 의료정책 연구원, https://rihp.re.kr/bbs/board.php?bo_table=statistics_supply&wr_id=31)


17446833622882.png

([출처:중앙일보] 소아과 대 란의 역 설, 소아과 의사가 넘쳐난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54377)





소아 인구가 급격히 줄 때 > >

전문의 수는 꾸준히 늘었습니다. > >

그럼 왜  >소아과가 부족한걸까요? >





2.전공의가 줄어서? >


언론에서는 소아과 전공의가 줄어서 그렇다고 합니다.

17446833623233.png


근데 잘  생각해보면 전공의 = 수련받는 미완성의 의사입니다. >

얘네가 있건 없건 완성된 의사인 전문의만 충분하면 지금 당장의 문제는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럼 전문의는 늘었는데, 왜 오픈런 같은 사태가 벌어지는 걸까요?



왜냐면 다 때려쳐서 그렇습니다. >

힘들게 소아과 전문의를 딴 사람 의 36%가 소아 진료를 안  합니다.


17446833623591.png



3.소아과 전문의의 현실  >


현재  한국 에서 소아과 병원만 운영하는 곳은 몇 없습니다.

여러 과목을 동 시에 보던가 차 라리 접는 상황 입니다.


소아과 의사들도 소아 진료를 포기하고

소아과 병원들도 문을 닫으니 당연히 오픈런이 발생할 수 밖에요


17446833623872.png




그리고 이게 자연스러운게, 소아과는 워낙 수가가 저렴합니다.

애 한명 진료해봤자 얼마 나오지도 않습니다.




17446833624196.png


병원을 유지하려면  >의사 한 명이 하루 에 80 - 100명을 봐야합니다. >

이러려면 한 동 네에 소아과가 1-2개 이상 있으면 안  됩니다. >

소아과가 늘어 경쟁하는 순간  모두 적자에 빠지는 구조입니다. >


그러니 한두 곳만 남는 게 당연합니다.



4.사견


후배들 입장에서 봐도 이렇습니다.


소아과를 하면 다음과 같은 미래 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 저출산으로 향후 전망이 어두움 (고객이 줄어듦) >

- 잘 못 되면 소송 등의 위험부담이 몹시 큼 (예시: 이대 목동  사태, 참고로 이거 다 무죄나왔습니다.) >

- 돈  벌기는 커녕 폐업 걱정에 시달림 >

- 소아과로 돈  버는 곳이 없으니 일자리도 없음 >



소아과 전문의를 늘린다고 동 네에 소아과가 늘어날 것  같진 않습니다.

지금의 늙어가는 소아과 의사들이 은퇴하면 앞으로 전문의도 급격히 줄어들겠죠.

앞으로 소아과 전공은 몇몇 뜻있는 사람 들만 할 겁니다.


소아과가 그렇게 중요하면


차 라리 어린이병원을 여러 곳 지어서 다른 일 하는 소아과 의사를 고용하는 게 어떨까요.

힘들게 소아과 전공해놓고 다른 일 하는 선후배들 보면 국가적 측면에서도 낭비라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달빛어린이병원은 좋은 제도인 것  같습니다.

물론 이런 병원 운영하려면 당연히 돈 이 많이 필요합니다. 


 

17446833624485.png


근데 환자를 볼 수록 적자라니. 

정말 아이러니한 사업이네요.
한국 의 모든 의료 문제는 결국 다 '돈 ' 때문인 것  같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54,756 / 8 페이지
RSS
번호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