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6년  호주의 첫 한인 이민자 

컨텐츠 정보

본문

17445881429673.jpg
1876년  로키엘호(Lochiel)를 타고 호주에 도착한 존 코리아(John Corea) >

 >
 >
안 타깝게도 이 배의 승객 명단이 존재하지 않아 본명을 확인할 수는 없었지만, 이 배가 중국  상하이와 호주를 오가며 차 를 나르던 무역 선이라는 기록은 찾을 수 있었다. >

존 코리아의 한국  이름은 알 수 없지만 1894년  그의 귀화 자료(아래 사진  참조)를 살펴보면 그는 뉴사우스웨일스주 서부에 있는 작은 마을 ‘골골(Gol Gol)’에서 양털깎이로 일을 했던 것 으로 기록된다. 이 자료에 의하면, 그는 35세의 ‘코리아 출신자 (native of Corea)’로 명시돼 있다.  > >

17445881430169.jpg


 >
연구 시작 부터, 존 코리아가 이탈리아 꼬레아가 아닌 조선에서 온 사람 임을 밝히는데 주력했다.  > >
 >

 >
 >
 >
존 코리아는 1876년  호주에 도착하고 1894년 에 호주로 귀화했다. 귀화 전인 1879년 에는 브로큰 힐 인근에 있는 실버턴에서 광산권 획득을 시도한 바 있고, 1889년 까지 이에 대 한 결과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때까지 양털깍이 등을 하며 생활을 유지했던 것  같다. 코리아는 귀화한 다음 해인 1895년 에 서호주 쿨가디에서 광산 면허를 신청했다. 하지만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 귀화한 사람 으로, 여기[서호주]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라는 당시 광산권 허가 담당자였던 퍼시 필딩의 정부기록이 남아있다.  > >
 >
 >
 >

 >
 >
 >
 >
 >
17445881430661.jpg


 > >

 >
 >
하지만 존 코리아는 여기에서 포기하지 않았다. 그는 이번엔 뉴사우스웨일스주 브로큰힐 북부 화이트클리프에서 다시 도전장을 던졌고 1903년  마침내 광산 면허를 취득했다. 그는 틀림없이 광산 채굴로 약간의 돈 을 벌었을 것 으로 예상된다. 1902년 에는 한 지역  신문에 “미스테리 수표 분실 사건”라는 제목의 존 코리아에 대 한 기사가 실렸다. 친구 들과 함께 축구 경기를 관람하던 존이 당시 돈 으로 150 파운드에 달하는 수표를 잃어버렸는데, 나중에 이 수표가 겉과 안 이 바뀐채로 접히어서 다시 같은 경기장에서 발견되었다는 내용이다. >
 >
 >

 >
 >
 >
17445881431155.jpg


 > > >
불행히도 존 코리아는 말년 에 결핵에 걸렸고 애들레이드 병원에 입원한 기록이 나온다. 그는 노동 자들에게 저렴한 숙소를 제공하기 위해 구세군이 운영하던 한 시설에 머물렀다. 당시 병원 기록에는 존 코리아의 출생지가 ‘Japan ’으로 기록되어 있다. 한국 은 1910년  주권을 잃었고 2차  세계 대전 이 끝날 때까지 일본 의 식민 지배를 받고 있었기에 그의 출생지가 한국 이 아닌 일본 으로 쓰여있는 것 은 어쩌면 당연한 일로 여져질 수 있다. 오히려 이 사실을 통해서 존 코리아가 한국  출신임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
 >
 >
 >

 >
 >
 >
 >
17445881431625.jpg


 > > > >

 >
 >
 >
 >
그는 1924년  6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결혼 도 하지 않았고 자식도 없었다. 그의 장례식은 이웃주민이거나 동 료로 예측되는 이블린과 리처드 로버트슨 부부에 의해 치러졌다. 에블린은 1924년  8월 6일 지역  신문에 존 코리아의 장례식을 위한 광고 를 냈다. 그는 밀두라에 있는 니콜스 포인트 묘지에 묻혔다.  > >
 >
 >
 >
 >

 >
 >
 >
 >
 >
 >
17445881432061.jpg


 > > > > >

 >
 >
 >
 >
 >
존 코리아가 어떤 경로를 통해 호주에 왔는지 모르지만, 1876년 에 그가 호주에 도착했을 때 그의 나이는 겨우 17살이었다. 그가 사망한 후 남긴 재산은 니켈 시계와 전쟁 채권을 포함한 425 파운드 (현재  시가로 호주달러 3만8천불 가량)의 저축이 전부였다. >
 >
 >
 >
 >
 >

 >
 >
 >
 >
 >
 >
1744588143263.jpg


 > > > > > >

 >
 >
 >
 >
 >
 >
만약 존 코리아에게도 생존한 자녀들이 있었다면 오늘 날 호주 사회에서Corea 성을 가진 3,4 세대  재호한인을 만날수 있었을 것 이다. 그는 갔지만, 그가 남겨준 꿈과 도전정신, 지역  사회와의 우정은 아직도 살아있다. 호주 최초의 한국 인으로 여겨지는 존 코리아를 기억 하며, 그가 편히 잠들어 계시길 기원한다. >
 >
 >
 >
 >
 >
 >

 >
 >
 >
 >
 >
 >
 >
전문: >


강화도조약이 체결된 1876년 에
조선에서 호주로 어쩌다 넘어가신 건지..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54,671 / 6 페이지
RSS
번호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