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병제 나라들의 병사 월급의 진실 

컨텐츠 정보

본문

월급 200 만원이 정답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이런식의 비교는 옳지 않음


먼저 비교한 국가들 중 일부는 사실 우리나라가 시행하는 징병제랑 단어만 같은 징병제이지 다른 제도에 가깝기 때문임


이들 국가에서 시행하는 징병제는 일명 '선택적 징병제' 혹은 '북유럽식 징병제'라고 부르는데 

특징 은 선택적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는데 군대 에 가기를 희망하는 인원만 징병 대 상이 됨

그래서 징집률이 한국 에 대 비해서 낮게 형성되어 있음

활성화된 대 체복무 제도까지 포함하면 모병제에 더 가까움


글에서 비교한 국가에서 예를 들면

1. 독일

17396959193067.jpg

설문지에서 복무를 동 의하는 사람 만 징병함


2.노르웨이

17396959193439.jpg

이 국가는 그냥 징집 문서가 날라왔을 때 무시하면 징집이 되지 않는다고 함



이러한 특징 말고도 여성 도 징집에 희망하면 병사로 복무할수 있고 다른 잡다한 일도 안 시키고 근무와 훈련에만 집중한다고 함

그래서 군대 의 질이 매우 높아 군복무에 대 한 평가도 우리나라보다 좋다고함

또한 훈련에만 집중하기 때문에 대 부분 병사로서의 복무기간도 1년 을 넘지 않음



1739695919386.jpg

핀란드는 앞선 국가와는 다르게 징집률이 높기는 하지만 

복무기간이 일반 병사로 복무한 다면 6개월로 우리나라와 비교해서 짧음

그러면 12개월을 머임? 이라고 하겠지만

이는 예비역  간부 양성 기준 이여서 일반 병으로는 이정도로 근무할 일은 없다고함


스위스도 훈련소 과정을 제외하면 일년  중 일부만 동 원되는 일종의 예비군에 가까움


이런 사정들이랑 각종 사회경제적 혜택을 모두 무시하고 월급만으로 비교하는 거는 오해를 가져올 수 있음


그리고 다른 나라는 딱 월급만 산출하면서 우리나라 병사 월급은 내일 준비적금까지 포함해서 산출하는지 모르겠음


이스라엘에서의  복무혜택으로 주택대 출 등을 지원한다는 것 은 유명한 이야기니까 넘어가고


싱가포르도 군대 를 전역 하면 대 상자랑 가족들이 세금 감면 혜택을 받음

1739695919438.jpg
또한 군 생활 동 안  막사 생활을 하는 것 이 아닌 출퇴근을 한다고함


이것  말고도 비교하는 국가에 러시아랑 태국을 왜 포함한지를 모르겠음

17396959194837.jpg

태국은 군부가 실질적으로 정권을 장악한 독재국가이고


17396959195203.jpg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서 군인으로 죽는게 이득이라는 

ㅂㅅ 국가임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43,279 / 6 페이지
RSS
번호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