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혀 낼름' 성수동  유명빵집 근황 

컨텐츠 정보

본문

17448554380211.jpg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유지희 기자


한 어린아이가 진열된 빵을 바라보다 순간  혀를 내밀고 빵 위에 수북한 슈가 파우더를 맛봤다. 이 놀라운 모습  이 담긴 영상 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확산하며 유명 베이커리를 중심으로 오픈형 진열 방식에 대 한 위생 논란 이 불붙었다.

한경닷컴 취재 결과 해당 빵집은 16일부터 오랜 기간 유지해오던 오픈형 진열 방식을 중단하고 모든 진열 빵에 덮개를 씌웠다.

17448554380605.gif
출처=온라인 커뮤니티


이는 해당 업체가 위치한 자치구의 요청에 따른 조치로 확인됐다. 업체 직원 은 "최근 불거진 논란 과 관련해 소속 구청의 요청을 받아 빵에 덮개를 설치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구청 관계자도 "지난 15일 논란 의 빵집에 권고 조치를 했고 이날부터 시정됐다"며 "빵을 오픈 진열해 판 매하는 제과점에 대 해 법적으로 포장이나 유리 덮개가 의무 사항은 아니지만, 소비자 신뢰를 고려해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계속 포장을 권고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논란 이 된 영상  속 상황 은 지난 12일 서울 의 한 유명 베이커리에서 일어난 일로 한 아이가 이 베이커리 대 표 메뉴인 '팡도르' 위에 뿌려진 슈가 파우더를 핥아먹자 이를 지켜보던 외국 인이 촬영한 것 으로 전해졌다.

17448554383787.jpg
지난 15일 방문한 논란 의 빵집/사진 =유지희 기자


빵진열 위생 문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지난해에는 "겨울철 니트나 코트에서 떨어지는 옷 먼지가 오픈형 빵에 닿을 수 있어 불쾌하다"며 "사진  예쁘게 찍으려고 덮개를 안  하는 것 이 이해되지 않는다"는 SNS 글이 화제가 된 바 있다.

앞서 2017년 에도 초등 학생 이 진열된 빵을 만지자 손님 이 항의하며 알바  생과 갈등을 빚은 일이 공분을 샀다.

문제의 빵집 직접 가보니…"오픈 진열 계속하다 끝내 덮개" >

1744855438419.jpg
16일 기자가 방문한 논란 의 유명 베이커리 빵에 투명한 덮개가 씌워진 모습  /사진 =유지희 기자


이날 기자가 다시 해당 매장을 찾았을 때, 모든 빵 트레이 위에는 투명한 여닫이 덮개가 설치돼 있었고 손님 들은 이를 열고 닫으며 빵을 골랐다. 

앞서 논란 이 불거진 직후인 지난 15일 방문 때는 여전히 아무런 덮개 없이 빵이 진열돼 있었고 테이블마다 손님 들이 커피와 함께 빵을 즐기는 모습  이 자연스럽게 이어졌지만 하루 만에 달라진 것 이다.

당시 현장에서 만난 20대  직장인 배모 씨는 "빵 회전율이 빨라서 금방 팔리니까 조금 찝찝하긴 해도 괜찮다고 생각한다"며 "요즘  인기 있는 빵집은 대 부분 이런 진열 방식"이라고 말했다.

반면 이번 사건을 계기로 위생이 걱정돼 방문을 꺼리게 됐다는 의견도 나왔다. 20대  대 학생  이모 씨는 "예전엔 신경 쓰지 않았는데 영상 을 보고 나니 위생이 너무 걱정돼 이제는 사 먹기 꺼려진다"고 말했다. 30대  직장인 문모 씨도 "사람 들이 빵 앞에서 이야기하며 침을 튀기는 모습  을 보니 비위가 상해 커피만 마시고 나왔다"고 전했다.

17448554384544.jpg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소재 베이커리 집의 진열 상태/사진 =유지희 기자


오픈 진열 방식은 압구정, 연남동  등 전국의 유명 베이커리들에서도 여전히 쉽게 목격됐다.

기자가 방문한 서울  압구정의 한 유명 베이글 전문점 역 시 수십 명이 줄지어 진열대  앞에서 대 화를 나누며 빵을 고르고, 일부는 빵을 집었다가 내려놓기도 했다.

"위생 사각지대 ?"…오픈형 빵 진열, 전문가들 의견 엇갈려 >

17448554384977.jpg
사진 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사진 =게티이미지뱅크


포장 없이 진열된 '오픈형 베이커리'가 위생 논란 에 휩싸인 가운데, 식품위생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이를 두고 의견이 엇갈린다. 공기 중 미생물과 오염물 노출 위험을 우려하며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지만, 식중독 가능성은 낮아 법에 따른 제재는 어렵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권훈정 서울 대  식품영양학과 교수 는 "아무리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한다 해도, 매장은 사람 들이 드나들고 문이 수시로 열리고 닫히는 공간 이기 때문에 공기 중의 미생물이나 날파리 등 외부 오염 요인을 완전히 차 단하기 어렵다"며 "이런 환경은 매장을 얼마나 청결하게 관리하느냐와는 또 다른 문제"라고 지적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56,357 / 59 페이지
RSS
번호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