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방언 사용 인구 비율
컨텐츠 정보
- 7 조회
-
목록
본문
국립국어원이 5년 마다 국민을 대 상으로 실시하는 '국민의 언어 의식 조사'. >
가장 최근인 2020년 , 전국 17개 시군 만 20~69세 남녀 5000명 대 상으로 1대 1 면접조사를 진행했다
보고서 중 가장 흥미롭게 본 부분은'평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말(표준어+ 지역 방언)'을 물은 결과였는데
사용 인구 순위는 위 그림과 같다.
표준어가 과반에, 경상>전라>충청>강원>제주>북한방언 순이다.
지난 20년 간 사용 인구가 가장 많은 상위 3개는 표준어와 경상, 전라 방언이었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대 체로 표준어는 증가세, 다른 지역 방언은 감소세를 보였다
그렇다면 2020년 기준 , 각 지역 마다 방언 사용 비율은 어떻게 될까?
1. 수도 권 - 표준어가 압도적이고, 지역 방언 인구는 충청>전라>경상>강원. 유일하게 북한 방언 사용자 존재. 북한이탈주민(혹은 실향민도 포함)으로 추정
2. 경상권 - 경상 방언이 압도적으로, 고유 방언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 인 동 시에 표준어 비율은 가장 낮은 곳. 전라 방언 등 다른 지역 방언 인구가 소수나마 존재
3. 전라권 - 전라 방언이 압도적. 경상권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고유 방언 비율이 높은데, 표준어 비율은 전라권이 조금 앞선다. 다른 지역 방언은 거의 전무
4. 충청권 - 고유 방언보다 표준어 비율이 더 높은 유이한 지역 (다른 하나는 강원권). 비록 소수지만 경상, 전라, 강원 방언 사용자가 골고루 존재
5. 강원권 - 충청권과 마찬가지로 고유 방언보다 표준어 인구가 더 많다. 경상 방언 사용자도 숫자 가 꽤 있는 편
6. 제주권 - 고유 방언 인구가 표준어보다 조금 앞서는 막상막하의 형국. 강원권과 마찬가지로 지역 방언 중에선 경상 방언 사용자가 유독 많다. 그 다음은 전라 방언
이와 별개로,'방언을 유지 혹은 존속해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제주권이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특히 '매우 그렇다'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은데, '육지'와는 구별되는 제주도민 고유의 정체 성이 투영된 것 은 아닐까 생각된다
한편 '표준어를 잘 사용하지 못 한다'는 응답은 10년 새 급감, 약 29%에서 12%가 됐다
앞으로 더욱 어려운 일이 되겠지만, 부디 지역 방언들이 사라지지 않고 오래도록 생명력을 유지했으면 하는 개인적인 바람 이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