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이론 기초> - 이것만 알면 초보탈출 한다

컨텐츠 정보

본문

요즘 채권 얘기가 여기저기서 나와서 적음. 채권 전문가(3시간 공부함) 관점임.

 

 

 

 

 

 

채권 관련해서 이것만 알고 있으면 다른 부가적인 얘기들은 거의 다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이표채(표면이자율 적혀 있는 채권) 가격 계산

 

 

예금 복리로 계산할 때,

 

만기액 = 원금 × (1 + 이율)^n 이렇게 계산하지요?

 

 

채권가격 계산 원리 역시 이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이표채는 정해진 기간마다 채권에 쓰여있는 표면이자율에 따라 이자(쿠폰이자)를 주고, 만기에 채권에 쓰여있는 액면금액을 줍니다.

 

 

각각의 쿠폰이자들에 대해서, 지금 지불하는 원금을 역산해서 다 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6665456099557.jpeg
 

 

 

 

2. 채권가격-수익률 곡선

 

1번 식을 가지고 채권가격을 y축, 수익률 r을 x축으로 그래프 그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16665456101335.png
 

채권가격과 시장금리 관계가 이렇다는 걸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곡선입니다.

 

 

 

 

 

3. 듀레이션과 채권 가격 변동성의 관계

 

 

2번 그래프의 기울기 절대값이 수정 듀레이션입니다. (즉, 1번식을 수익률 r에 대해서 미분하고 절대값 씌우면 됩니다)

 

(듀레이션은 맥컬레이 듀레이션과 수정 듀레이션이 있는데 거의 같은 값이고 직관적인 관점에서는 자세히 구분할 필요 없습니다.)

 

 

그래프에서 보면 기울기 절대값이 큰, 빨간 표시 구간에서는 수익률이 조금만 변동해도 다른 구간보다 채권가격이 훨씬 크게 움직이죠?

 

 

그래서 전문가들이 듀레이션이 길면 가격 변동성이 크다고 얘기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만기가 많이 남은 채권이 듀레이션이 길고, 

 

그러므로 쉽게 말해서 만기가 많이 남은 채권은 시장금리 변동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크다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94,654 / 2574 페이지
RSS
번호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