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수도 권에 건설된 업무지구들

컨텐츠 정보

본문

1990년 대 , 한국 의 산업체질이 제조업에서 지식기반산업(미디어, R&D, 서비스, IT 등)과 반도체로 바뀌며 서울 시, 인천시, 경기도는 이에 재빠르게 대 응하였음. 

 
그 과정에서 지자체가 건설한 업무지구도 있고, 산업의 변화에 따라 기업 들이 모이며 업무지구가 된 곳도 있음. 
 
그리하여 기존의 강남/사대 문안 /여의도를 제외한 새로운 업무지구들이 여러 개 탄생함. 
 
 
 


 
 
구로구 구로디지털단지 (넷마블 등)
 
 
1990년 대  경공업 등 전통적 제조업이 점점 위신을 잃자 발빠르게 대 응한 서울 시는 구로공단을 디지털산업단지로 개조하고 지식산업센터 위주의 첨단 산업단지로 바꾸었음. 
 
이것 이 '서울 디지털산업단지'이며 그 중 구로구 영역 인 1단지를 '구로디지털단지'라고 부름
 
 
 


 
 
금천구 가산디지털단지 (컴투스, 미샤, 삼성 물산r&d센터 등)
 
 
서울 디지털산업단지의 금천구 영역 , 즉 1/2단지를 가산디지털단지라고 부름. 
구로에 비해 규모가 훨씬 크며, 강남/여의도/사대 문안 에 이은 서울  제4의 업무지구임. 지식산업센터라는 개념이 이곳에서 탄생하였음.
 
 
 
 
강서구 마곡지구 (LG전자 등 여러 LG계열사, 귀뚜라미보일러, 아워홈 등)
 
 
'서울 의 마지막 미개발지'로 불리었던 곳인데, 원래 월드컵경기장을 지으려다가 마포에 짓게 되면서 이곳은 신도시로 개발하게 되었음.
 
LG그룹이 대 규모 투자를 단행하여 R&D 센터를 개발하면서 서울  서부권 최대  업무지구 중 하나가 됨
 
 
 
 
 
 



 
마포구 디지털미디어시티 (중앙일보, MBC, YTN, LG CNS, CJ ENM 등)
 
 
서울 시가 난지도를 매립하고 개발하면서 상암동 을 미디어기업 의 중심지로 만들고자 하여 개발된 지역 . 지금은 한국  언론과 미디어 산업의 중심지가 되었음.
 
 
 

 
송파구 문정법조타운 (대 명소노그룹, 서울 동 부지법/지검, 환인제약 등)
 
서울 동 부지방 법원과 서울 동 부지방 검찰청이 이전하며 조성된 법조타운. 원래 비닐하우스 단지였으나 2010년 대 부터 법조기업 과 지식산업센터가 모여 다양한 기업 들이 운영되는 동 남권 대 표 업무지구가 되었음
 
 
 


 
성동 구 성수동  (무신사, 크래프톤, 큐브엔터테인먼트, SM엔터테인먼트, 쏘카, 현대 글로비스 등)
 
원래 강북의 대 표 공장지대 였으나 2010년 대 부터 성수동 이 힙스터들의 성지로 성장하며 각종 기업  본사도 모이기 시작 함. 
 
서울 시의 의도가 아닌 자체적으로 기업 이 모여 성장한 케이스.
 
 
 
 
 

 
마포구 마포대 로 (에스오일, 한겨레, 효성그룹, HS애드, 동 서식품 등)
 
 
마포대 교를 통해 여의도와 연결되어 있다는 장점 덕분에 공덕역  및 마포역  일대 에 여러 기업 들이 모여 있음
 
 
 
 



 
마포구 홍대 입구역 -합정역  (모닝글로리, 홀트아동 복지회 등)
 
홍대 가 대 형 상권으로 성장하며 자연스럽게 기업 도 모이게 되었고, 대 로변 뿐 아니라 골목길 곳곳에 여러 기업 들이 산재해 있음
 
 
 
 
 

 
용산구 용산(하이브, 아모레퍼시픽, 오리온, 삼일회계법인 등)
 
용산역 에 KTX가 개통함에 따라 개발붐이 일면서 낙후되어 있던 용산에 다양한 기업 들의 본사가 입주하였음
 
 
 
 

 
강동 구 고덕비즈밸리 (쿠쿠, 도드람, 신라교역 , JYP엔터테인먼트(예정) 등)
 
최근 강동 구 고덕동 에 택지지구를 개발하며 같이 조성된 업무지구임
 
 
 
 

 
인천 송도국제도시 (포스코건설, 삼성 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도와 인천대 교로 연결되어 있다는 장점을 활용하여 간척하여 만든 신도시로, 국제도시라는 이름 답게 여러 기업 들의 본사와 R&D 시설이 입주하였음
 
 



 
성남 판 교테크노밸리 (카카오 , 안 랩, 엔씨소프트, 넥슨, NHN, 네오위즈 등)
 
경기도가 새로운 산업구조에 대 응하기 위해 분당 북부에 개척한 테크노밸리로, 홍콩의 사이버포트를 본따 만들었음.
 
강남 테헤란로의 여러 기업 이 판 교로 이전하였으며, 2010년 대  들어 IT산업이 주요 산업으로 확고하게 자리잡으며 서울 의 주요 업무지구 못 지 않은 거대 한 업무지구로 성장함.
 
 

 
화성 동 탄테크노밸리 (현대 트랜시스, 한미약품, KMW 등)
 
동 탄신도시를 개발하며 함께 건설한 테크노밸리로, 경부고속도로가 근접하고 경기남부의 산업 집적화를 이룰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다양한 기업 이 입주함.
 
 
 

 
파주출판 도시 (교보문고, 웅진씽크빅, 문학동 네, 김영사, 창비 등)
 
파주시가 출판 기업 의 유치를 위해 개발한 산업단지로, 실제로 서울 의 많은 출판 기업 이 이전하여 국내 출판 업의 성지가 되었음.
 
 
 
지방 은 보통 광역 시나 도청소재지에 신도시가 건설되며 기업 이 구도심에서 신도심으로 이동 했음. 대전  둔산, 광주 상무지구, 전주 서부신시가지가 대 표적임. 
 
다만 구로디지털단지, 가산디지털단지와 같은 공단 재개발은 성공하지 못 하거나 현재 진행형임. 대구  염색공단이 패션성지로 탈바꿈하고자 했으나 실패한 것 이 대 표사례임.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51,705 / 25 페이지
RSS
번호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