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에 대 한 여러 사실들
컨텐츠 정보
- 0 조회
-
목록
본문
1, 화포위주 해전 메타는 이순신이 정립했다? >
>
실제로 이순신의 조선 수군이 구사한 화력으로 원거리에서 상대 를 압도하는 전술은 당시 동 아시아에서의 주력전술과는 상당히 동 떨어져 있었다. >당시는 그냥 배 붙여서 백병전으로 패는게 정석이었기 때문. >
그러나, 알다시피 조선의 화포 개발과 판 옥선의 화포 장착이 이순신의 작품인 것 은 절대 아니고 이미 고려 말에 왜구를 때려잡기위해 화포가 발전되었으며, >이순신은 뉴메타인 화포를 적극 활용한 전술의 실용성을 입증하고 그 교리를 세웠다고 볼 수 있다. >
2, 이순신은 정보전에 능했다. >
이순신의 전략전술 수립에 가장 도움이 됐던 것 중 하나가 압도적인 정보력이다. >이순신은 항상 전투 이전에 적이 언제 어디서 공격할지 알고 있었고, 심지어 그 근방 해역 의 물살같은 것 도 꿰고 있었기 때문에 그냥 >정보 수집 -> 이길 방법 궁리 -> 이김. >이 과정의 반복이라는 기가막힌 능력이 보여주었다. >
특히, 그냥 이길거같다고 싸우는게 아니라 이겨도 전술적 가치가 그닥없고 아군 피해만 클 것 같다고 판 단되면 전투하지 않았고 >심리전에도 능통하여 "적의 습성상 슬슬 기습할때가 됐다 싶어서 대 비시켜 놨더니 진짜 기습하더라." 라는 일화도 있을 정도다. >
3. 필사즉생 필생즉사 연설은 희생을 강요하는 말이다? >
명량해전 직전, 이미 병사들이고 장성들이고 전의를 거의 상실하고 도망칠 궁리나 하고 있을때 ' >죽고자 하면 살고, 살고자 하면 죽는다.' 라는 연설을 해서 사기를 북돋은 일화가 유명하다. >언뜻 말을 들으면 그냥 >
"이 새끼 마냥 우리가 절대 적으로 열세한 상황 이나 더 이상 물러날 곳도 없으니 뒤는 우리에게 맡기고 여기서 나라를 위해 죽어다오." 라는 식으로 알아들 을 수도 있다. >
근데 사실 그 연설 내용이 "죽더라도 싸우다가 죽자." 가 아니라 >"씨발 내가 이길 방법 다 생각해왔는데 튈 생각하고 있냐. 나만 믿고 다같이 훈련한 대 로 따라오면 이기니까 도망칠 생각하지 마라. 여기까지 와서 나를 못 믿나?" 와 같은 뉘앙스라고 보는게 맞다. >
4. 명량해전때 처음에는 이순신만 싸웠다 >
이미 영화 명량으로 인해 널리 알려진 사실이지만 전투 초반에는 적의 규모를 보고 13척 중 이순신의 대 장선 단 한 척만 빼고 전부 뒤에서 전투를 관망하는 대 참사가 벌어진다. >평소에는 군기를 중요하게 여겨서 매우 엄하게 다스렸는데도 불구하고 13 대 133은 시발 아무리 봐도 아닌거 같다고 생각하여 다같이 이순신 죽는거 구경이나 하려 한 것 이다. >
그러나 이순신은 이에 굴하지 않고 혼자서 울돌목을 틀어막는 기적의 블로킹을 선보이며 중군영하기와 초호기를 걸어서 >도움핑을 존나 찍자 >
"아니 이게 되네." 하면서 장수들이 허겁지겁 도우러 갔다고 한다. >사실 다른 장수가 이딴 전력차 로 싸우자고 했으면 이미 다 도망가고 아무도 안 남았겠지만 >'근데 진짜 이순신이라면?' 이라는 생각으로 뒤에서 지켜보기라도 한게 아닐까 싶기도 하다. >
5. 이순신 최대 의 위협은 전염병? >
조선 최고의 명장도 피해갈 수 없었던게 병사들의 전염병이다. >그 시대 군대 가 늘상 그렇듯 비전투손실이 전투손실 이상이었는데, 아군 피해를 최소화하는 이순신의 특성상 그 피해의 비중이 매우 컸다. >
당시 충무공 휘하 장병들의 사망 원인 2위가 전염병(약 2500명)일 정도. >실제로 임진왜란 전체에서 이순신이 이끈 조선수 군의 전체 전사자 수는 400~500명 정도로 추산되는데 이렇게 보면 전염병이 얼마나 무서웠는지 짐작할 수 있다. >실제로 전염병으로 군의 규모가 크게 줄어들자 새로운 수군을 구하려고 정말 힘들었다는 기록도 있을 정도. >
참고로 충무공의 병사 사망원인 1위는 원균이다. (약 17000명)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