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국가는 잘  살고, 어떤 국가는 못 사는 이유

컨텐츠 정보

본문

 

17286919788638.png

[ 하루 에 39000원, 월급 117만원 미만으로 버는 인구 비중: 한국 은 영국 프랑스랑 비슷한 수준  ]
 
아마 단순 경제학을 넘어 사회 학문 전체에서 가장 중대 한 주제라고 생각함. 왜 A란 국가는 잘 살고 B란 국가는 못 사는 나라 물어보면 여러 대 답이 나옴.
 
1728691979731.jpeg

[ 싱가포르 ]
 
기후의 문제? 실제로 영향이 없진 않지만, 현재  싱가포르등 그 반례가 나오고 현대  기술로 극복할수 있는 경우가 많음.
 
17286919798202.jpeg

 
 
단순 근면하지 않아서? 개발도상국과 빈국들의 5살때부터 18시간씩 일해서 하루  5000원 벌어가는 애들보다 선진국의 알바  생들이 더 근면하다 볼 이유는 없음.
 
 
17286919800278.png

[  영프독, 일본 , 중국 , 인도 1인당 gdp 변화 ]
 
그러면 대 체 무엇이냐? 가장 크게 세가지 꼽자면 자본 투입, 노동 생산성 증가, 그리고 고부가가치 산업임.
 
과거 로 돌아가서 얘기해보자면 사실 인류에서 몇 왕족이나 귀족을 제외하고 절대 다수를 차 지하던 일반인 즉 농민들의 소득이나 삶의 질은 거기서 거기였음.
 
17286919802995.png

[ 1300 - 1800년  유럽 국가들의 1인당 gdp ]
 
보통 이게 차이 가 나기 시작 하는 시점 이탈리아 도시국가들, 그리고 대 략 17세기를 기점으로 상업과 금융이 발달한 영국과 네덜란드에서 시작 되어 프랑스 일부 도시들에서 발견됨.
 
17286919806451.jpeg

[ 1800년 대 초까지 정체 한 영국 실질 임금 ]
 
이런 국가들과 지역 의 공통점은 상업적 전통과 무역 에 유리한 위치란 점인데 그럼에도 대 다수 일반인의 실질적 임금은 정체 되었고, 인구가 증가하면 그 즉시 실질 임금도 하락하는 맬서스 트랩의 전형을 보여줌.
 
그러나 산업혁명 이후 이 공식이 깨지기 시작 함. 인구가 증가하는데 소득도 증가하기 시작 했단 얘기임.
 
17286919807903.jpeg

 
 
여기서 앞서 말한 첫번째 이유인 자본의 투입임. 자본주의의 역 사에서 원초 자본주의 내지 상업적 자본주의라고 부르는건 16-17세기부터 기원을 두지만.
 
이건 말 그대 로 '원초' 적 자본주의라 부르는 얘기가 이 시기까지는 자본을 축적하기 위한 기반이 쌓이고 있었지만 본격적으로 실행이 되진 않았음.
 
17286919808821.png

 
 
하지만 18세기 중반 - 19세기 이후에 영국과 서유럽 일부에서 일어나는건 분명한 차이 를 보이는데 기존의 경제는 1. 얼마나 많이 양질의 토지를 보유했느냐 2. 얼마나 많은 인력을 투입할수 있느냐가 사실상 전부에 상업 경제란 이 토지에서 난 것 들의 거래로 이윤을 창출하는거였음.
 
1. 자본 투입량
 
 
17286919810257.jpeg

 
하지만 산업혁명 이후에는 1과 2에 하나가 더 붙음. 3. 얼마나 많은 자본을 투입해 새로운 공장과 기계등 자본설비를 구매하고 기술 혁신에 투자하느냐.
 
자본을 투입해 자본을 더 키우고 그 더 키워진 자본을 통해 더더욱 큰 자본을 모으는 본격적인 산업 자본주의가 시작 됨.
 
17286919811397.jpeg

 
 
실제로 미국 이 타 선진국 대 비 앞서나간 이유와 동 아시아 국가들이 급격한 성장을 한 이유도 상당 부분은 이 자본 투입량에 기인함.
 
2. 노동 생산성
 
17286919812457.jpeg

 
 
그리고 자본가들은 이 자본 투입을 통해 노동 생산성 증가도 꾀하기 시작 함. 이제 경제학과 일반인들과의 괴리가 가장 심한 용어가 이 노동 생산성일거임.
 
노동 생산성은 개개인이 얼마나 열심히 일하냐라는걸 말하는게 아니라, 시간당 얼마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느냐를 말함.
 
17286919813443.jpeg

 
 
서두에서도 말했듯 이 선진국의 파트타임 노동 자가 개도국의 노동 자보다 5-10배나 더 열심히 일하고 빠른 속도로 일처리를 하는건 아니거든.
 
1728691981595.jpeg

[ 평균 임금 수준  ]
 
그렇다고 더 똑똑해서? 또 그런것 만도 아닌게 노동 생산성이 선진국 최상위인 미국 의 평균학력 수준 은 형편없음. 일정수준 의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고 학력이 높으면 더 유리하긴한데 고졸내지 중퇴한 미국 애들도 어지간한 선진국 대 졸자보다 벌이가 좋음.
 
17286919820571.jpeg

 
[ 주요 선진국들 소프트웨어 개발자 연봉  ]
 
그래서 미국  기업 들은 종종 더 월급이 싸면서도 학력이 높은 캐나다나 서유럽등 기업 에 하청을 주는게 요즘  트렌드기도 하고.
 
17286919821979.png

 
 
즉 이 노동 생산성은 단순 개개인의 근면성을 넘어 업무 숙련도와 기업 이 얼마나 많은 자본을 투입해 더 생산 효율이 좋은 설비를 구비하고, 직업 훈련 프로그램등을 갖춰 시간당 생산되는 부가가치를 극대 화 시키느냐에 달림.
 
3. 고부가가치 산업
 
17286919825168.jpeg

[ 저소득 국가 특징  : 저임금 노동 력 위주 저부가가치 산업 비중이 압도적 ]
 
그리고 이는 자연스럽게 세번째 이유인 얼마나 고부가가치 산업을 보유했느냐임. 
 
무역 에 유리한 입지나 또는 환경 조성도 중요하지만, 확실한것 은 무역 에 유리한 위치를 갖고도 가난한 국가는 많지만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에 성공하고서 가난한 국가는 거의 없다는거임.
 
 
17286919826104.png

[ 1900년 도 유럽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중 하나인 스위스 ]
 
대 표적으로 스위스가 그럼. 물론 유럽연합등의 환경을 거론하는 경우도 있으나 스위스는 유럽이 타 대륙 보다 전쟁이 많고 관세 장벽이 앞다퉈 세워지던 시기에도 부유해지는데 성공했음.
 
스위스는 내륙국이라 대 서양 지중해를 접한 국가는 물론 해안 가를 가진 유럽 국가보다도 더 불리한 자연적 조건이고 규모의 경제와 가격 경쟁력을 갖추기엔 인구가 부족해 대 규모 제조업으로 당시 영국, 미국 , 독일등을 이기기 힘들었음.
 


17286919831491.png

[  구글  취리히 지사 ]
 
그러나 스위스는 정밀 세공, 금융, 시계, 제약등 고부가가치산업들에 집중했고 최근에는 뛰어난 다언어 구사 능력에 숙련도가 높은 인력들을 육성 및 유치해 미국  빅테크가 유럽대륙 에 진출하는 중심지로 번영중이기도 함. 
 
그러면 이런 반론도 나옴. 그거 유럽대륙 빨 아니냐? 물론 선진국들 사이에 있기에 이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더 번성하는 요인도 분명 존재함.
 
17286919834676.jpeg

 
 
하지만, 가장 못 사는 비탄의 대륙 이라 불리는 아프리카에서 조그만 섬나라를 제외하고 제일 잘  사는 나라인 보츠와나 또한 무역 에 지극히 불리한 내륙국임.
 
다이아몬드가 터졌다는 자원빨이라는 오명도 있지만 보츠와나보다 더 많은 자원이 있음에도 그걸 제대 로 된 산업으로 발전 못 시키고 그 자원을 활용한 인프라와 여타 산업으로 확장시키는데 실패한 자원의 저주 케이스도 널렸음.
 
1728691983717.jpeg

[ 소말리아보다 못 살았던 보츠와나 ]
 
그리고 보츠와나는 단순 자원빨이라 격하하기에는 1960년 대  독립 시점 대 졸자 22명에 포장도로 총연장은 12km였으며 중등교육 이수자조차  100명밖에 되지 않는 1인당 gdp 59달러의 아프리카 내에서도 가난한 국가였음
 
17286919838957.jpeg

[ 태국을 역 전한 보츠와나의 1인당 gdp ]
 
물론 보츠와나의 빈부격차  문제나 인구가 적다는것 도 있지만, 아프리카내에서 1인당 gdp를 세계적 관광대 국인 태국보다 더 높게 만들었다는건 엄청난 성과라고 할 수 밖에.
 
17286919841317.png

[ 2000년 대  중반 이후 벌어지는 미국 과 타 선진국들의 격차  ]
 
그리고 최근 뜨는 고부가가치 산업인 IT와 관련 산업을 제대 로 육성했느냐 못 했느냐에 따라 기존 선진국들인 미국 과 유럽 그리고 일본 에서의 격차 가 벌어짐. 특히 2000년 대  중후반 이후.
 
미국 인들이 유럽인이나 일본 인들보다 특별히 더 우월하거나 지능이 뛰어나서 그런건 아니고 대 부분의 분석 또한 이런 산업 격차 를 지적함.
 
17286919848492.png

 
 
그러면 그냥 기축통화 얘기하는 사람 도 있지만 미국 은 오히려 기축통화 패권은 2000년 대  초반을 고점으로 하락중임. 기축통화국으로서의 이득도 존재하지만 산업에서의 격차 가 훨씬 크고.
 
17286919850929.jpeg

[ 멕시코는 노동 시간이 OECD에서 가장 길지만 가장 낮은 임금 수준 인 평균 주급 30-40  만원대  ]
 
이렇게 보면 개개인의 노력이 아주 특출난 사례를 제외하고는 환경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다는걸 알 수 있으며 자신이 얼마나 잘  살 수 있느냐는 국가의 자본량, 기술, 교육, 산업에 많은 부분 결정됨. 
 
사람 에게 부모 복에 비견되거나 그 이상으로 영향을 끼치는건 바로 어느 국가에서 태어나느냐임.
 
3줄 요약 :
 
1. 어떤 국가가 잘  살고 못  사느냐는 단순 기후나 개개인의 근면성 문제을 초월한 사안 .
 
2. 전근대  경제에서 근대  경제로 바뀌는 가장 큰 경제적 요소는 자본이였고 자본 투입량은 현대 에도 얼마나 높은 경제성장을 구가하는지에 큰 영향을 끼침.
 
3. 또한 노동 생산성이 중요한데 이는 단순 개개인의 재능보다 기업 의 투자와 훈련 및 설비등이 영향을 끼치고 노동 생산성은 곧 시간당 부가가치 이므로 해당 국가가 고부가가치 산업을 얼마나 보유하느냐가 중요.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17,288 / 2 페이지
RSS
번호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