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에어 항공기, 비행 중 동 체 패널 떨어져…

컨텐츠 정보

본문

17443265988848.jpg
진에어 여객기에서 운항 도중 동 체 하단 패널이 떨어져 나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인명 피해로 이어지진 않았지만, 항공기 운항에 지장을 주거나 패널 추락에 따른 2차  사고가 생길 수 있는 일이었다. 업계에선 항공기 정비 소홀에 대 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

 

10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8일 오전 10시쯤 광주공항을 떠나 10시30분 제주공항에 착륙한 진에어 소속 LJ451편에서 외부 패널이 일부 사라진 것 으로 확인됐다. 진에어는 도착 항공기를 점검하던 도중에야 부품이 사라진 사실을 발견했다.

 

제주공항과 광주공항에서는 이착륙을 금지하고 활주로를 점검했다. 패널 잔해가 활주로에 남아있는지 등을 확인하는 절차 를 거친 것 이다. 5분 남짓 진행된 점검에선 잔해가 발견되지 않았다.

 

부상 등 인명 피해는 현재 까지 없는 것 으로 확인됐다. 당시 항공기에는 탑승객 134명, 승무원 6명 등 총 140명이 타고 있었다.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해당 항공기는 안 전하게 착륙했고, 패널 추락에 따른 2차  피해도 보고되지 않았다.

 

패널이 떨어져 나간 부분은 기체의 왼쪽 날개 아래에서 동 체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사진 으로 보면 착륙한 비행기 기체 하단에 커다란 구멍이 나 있어 항공기 내부가 보인다. 동 체로 연결되는 이 부위는 항공기 표면에 공기역 학적인 효과를 높여주는 기능 을 하는 것 으로 알려졌다.

 

항공업계에선 정비가 소홀했던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한 정비사는 “볼트로 조인 부분이 느슨해서 풀린 것 인지 나사가 빠졌는데 파악 못  한 것 인지 정확한 내막은 알 수 없지만, 1~2개 덜 조인 것 으론 발생하지 않는 일”이라며 “정비가 소홀했던 것  같다”고 지적했다.

 

비행기 노후화에 대 한 우려도 나온다. 사고가 발생한 항공기는 HL7560편으로 2000년  7월 1일 도입됐다. 통상 항공업계에선 기령 20년  이상인 항공기를 노후 항공기로 본다. 사고 기종 기령은 24년 이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운항 중 항공기 패널이 떨어져 나갔다는 건 정말 이례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5/0001769110?sid=102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54,209 / 17 페이지
RSS
번호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