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3연임에 질린 중국인들 -> 일본으로 투자이민 간다

컨텐츠 정보

본문

최소 투자액, 미국·싱가포르보다 낮아…못마땅 현지 기류도
"낮은 범죄율·저렴한 부동산·엔저 등으로 이민 더 늘 듯"


(서울=연합뉴스) 경수현 기자 = 중국 정부의 강력한 코로나19 봉쇄 정책을 겪은 중국인 부유층들이 투자 이민을 통해 일본에 밀려들고 있다고 미국 경제신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의 투자이민 제도인 경영관리 비자를 통해 올해 1∼10월 일본에 새로 입국한 중국인은 2천133명에 달했다.

...
이 비자는 500만엔(약 4천750만원)이상의 투자와 사무소 확보 등 일정 요건을 갖춘 외국인에게 주어진다. 보통 1년짜리 용도로 발급하지만 해당 외국인은 계속 비자를 연장하다가 나중에는 영주권을 신청할 수 있다.

 

16722378883768.jpeg

일본 오사카의 건물들
[EPA/DAI=연합뉴스 자료사진]


투자액 요건을 보면 유사한 투자 이민 비자를 발급하는 미국의 최소 80만달러 (약 10억1천736만원)나 역시 부유층 중국인들에게 인기있는 투자 이민처인 싱가포르의 185만달러(약 23억5천265만원)보다 훨씬 부담이 작다.

중국 국영기업에서 임원을 지낸 어맨다 우(영어 이름·62)씨도 일본의 이 투자이민 비자를 받고 지난 10월부터 홋카이도의 항구 도시 오타루에 방4개짜리 집을 구해 살고 있다.

우씨는 "베이징에서 화장실 하나를 살 수 있는 돈이면 오타루에서는 집 하나를 살 수 있다"며 "일본으로 이주를 생각하는 내 친구들이 과거 어느 때보다 많다"고 WSJ에 말했다.

 

....
실제 일본의 비자 발급 대행 서비스 업체들에 따르면 올봄 4개월 간 이어진 상하이 봉쇄와 시진핑 국가주석의 3연임이 확정된 10월 이후에 비자 신청이 급증한 것으로 전해졌다.

도쿄에서 부동산 중개 사무소를 운영하는 한 중국인 남성은 중국 사람들이 어느 때라도 삶이 망가질 수 있다는 좌절감을 느끼면서 "그럼 나가자"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16722378884451.jpeg

(AFP=연합뉴스) 지난 23일 중국 충칭의과대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는 코로나19 환자들. 2022.12.26.

물론 일본에서도 한국에서 그러하듯 중국인들의 이주나 부동산 매입을 달갑게 여기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최근 매물로 내놓은 홋카이도 별장을 더 비싸게 사겠다는 의사를 밝힌 중국인 대신에 일본인에게 넘긴 스즈키 시게미(90)씨는 "많은 중국인의 부동산 매입이 불편하다"고 말했다.

중국 베이징에 있는 싱크탱크 중국세계화연구소(CCG)가 유엔 자료를 기초로 만든 도표에 따르면 일본 내 중국인 이민자 수는 78만명으로 미국(290만명)에 이어 세계 2번째다. 이는 중국 국적자 수만 포함한 것으로, 이미 국적을 바꾼 2세나 3세 등 중국계 현지인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

신문은 외국인 이주에 대한 일부 일본인들의 거부감에도 낮은 범죄율과 부동산 가격 등의 매력, 엔저 현상 등이 중국인 이민 수요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email protected]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67593?sid=104

-----
 

시진핑 3연임과 코로나봉쇄 정책에 질려버린 중국인들이 탈출해서 일본으로 가고 있음.
 

투자이민 요건 : 미국 10억원, 싱가포르 23.5억원, 일본 4750만원 -> 일본이 가장 저렴함.

 

베이징에서 방 한칸 구매할 정도면 일본에서는 집 한채를 살 수 있음. 

 

이런 상황이면 나 같아도 일본으로 간다.. 한국으로 오는 중국인들도 비슷한 이유일 듯..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60,746 / 11863 페이지
RSS
번호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