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장군들이 평가한 이순신
컨텐츠 정보
- 9 조회
-
목록
본문
오늘 은 충무공 탄신일이라 올려봅니다. > > > > > > > > > > > > > > > > > > > >
* 제독 진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제독(진린)은 그 소식 (이순신의 전사)을 듣고 자기 몸을 세 번이나 배에 던지면서 말하기를, >
“함께 일을 할 사람 이 없게 되었다.” > > > > > > > > > > > > > > > > > > > >
하였고, 천병들 또한 고기를 물리치고 먹지 않았다. >
(백사집) > > > > > > > > > > > > > > >
>
>
>
* 제독 마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저도 들었는데 이순신이 아니었던들 중국 군대 가 작은 승리를 얻는 것 도 어려웠으리라고 하였습니다. > > > > > > 국왕께서는 조선의 여러 장수 가운데 누가 양장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나는 이순신 >ㆍ정기룡ㆍ한명련ㆍ권율 등이 제일이라고 여깁니다. > > > > > 저번에 군문에게 이 말을 하였더니 군문이 상품을 나누어 보내 그들의 마음을 격려했다고 합니다.” >
(선조 31년 (1598) 8월 15일) > > > > > > > > > > > > > > > > > > >
>
- 당치 않은 말씀입니다. 이순신이 혈전을 벌이다가 죽었는데, 저는 그를 직접 만나보지는 못 하였으나 탄복할 만합니다. > > > > > > 그의 자손에게 포상하여 그 충렬을 널리 알리는 것 이 좋을 듯 싶습니다.” >
(선조 32년 (1599) 1월 9일) > > > > > > > > > > > > > > > > > > >
>
- 제독이 묻기를, >
“이순신은 어느 지방 사람 입니까?” > > > > > > > > > > > > > > > > > > > >
하니, 상이 대 답하기를, >
“충청도 아산 사람 입니다.” >
하였다. 제독은(이순신의 죽음이) 애석한 일이라고 하고는 > > > > > >, 말하기를, >
(선조 32년 (1599) 1월 9일) > > > > > > > > > > > > > > > > > > >
>
>
>
* 제독 유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감사합니다. 재차 나와서 아무 것 도 이룬 것 이 없습니다. 이순신 같은 자들은 나라를 위하여 몸을 바쳤으니 참으로 애석한 일입니다. > > > > > > > > > > > > > > > > > > > >
(선조 32년 (1599) 1월 29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군문 형개 > > > > > > > > > > > > > > > > > > > >
>
- 귀방의 총병 이순신은 마음을 다해 적을 토벌하니 대 단히 칭찬할 만합니다. 제가 이미 상으로 은(銀)을 보내어 크게 표창하였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선조 31년 (1598) 11월 3일) > > > > > > > > > > > > > > > > > > > >
>
- 이순신은 마음을 다해 왜적을 토벌하다가 끝내 전사하였으니, 저는 너무도 애통하여 사람 을 시켜 제사를 지내게 했습니다. > > > > > > 국왕께서도 사람 을 보내어 제사를 지내소서. 또 그 아들 을 기용하는 것 이 어떻습니까? 순신과 같은 사람 은 얻기가 쉽지 않은데 마침내 이렇게 되었으니 더욱 애통합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선조 31년 (1598) 11월 26일) > > > > > > > > > > > > > > > > > > > >
>
- 형 군문이 이순신의 죽음을 몹시 슬퍼하여 사람 을 보내 제사를 지냈고, 우리 나라에서도 제사를 지내게 하려고 하니 > > > > > > 그 뜻이 매우 훌륭합니다. >
(선조 31년 (1598) 11월 30일) > > > > > > > > > > > > > > > > > > > >
>
>
>
* 경리 양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상(선조)이 말하기를, >
“통제사 이순신이 사소한 왜적을 잡은 것 은 바로 그의 직분에 마땅한 일이며 큰 공이 있는 것 도 아닌데 >, 대 인이 은단(銀段)으로 상주고 표창하여 가상히 여기시니 > > > > > >과인은 마음이 불안 합니다. >” 하니 >
>
경리가 말하기를,
“이순신은 좋은 사람 입니다. 다 흩어진 뒤에 전선을 수습하여 패배한 후에 큰 공을 세웠으니 매우 가상합니다. > > > > > > 그 때문에 약간의 은단을 베풀어서 나의 기뻐하는 마음을 표현한 것 입니다.” >
(선조 30년 (1597) 10월 20일) > > > > > > > > > > > > > > > > > > > >
>
- 이순신이 그처럼 힘을 다해 적을 죽이고 있어 내가 매우 가상히 여기고 좋아하고 있다. > > > > > >서둘러 권장하는 상을 내려 사기를 고무해야 할 것 이다. > > > > > >’ 하고, 또 묻기를, ‘그대 나라에서는 적의 수급을 벤 자에게 무슨 상을 내리는가?’ 하였습니다. 신이 대 답하기를, ‘공로가 많은 자에겐 벼슬을 상으로 내리고 혹은 면포를 상으로 내리기도 하며, 상으로 내릴 만한 물건이 없을 때는 혹 영직이나 면천 첩문을 주기도 한다.’하니, 경리가 분부하기를, ‘상주는 것 을 빨리 더 올려 사람 들의 마음을 진작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 이다. 만일 그대 나라에서 줄 만한 물건이 없다면 내가 그것 을 처리하고 싶다.’ > > > > > > > > > > > > > > > > > > > >
(선조 31년 (1598) 4월 14일) > > > > > > > > > > > > > > > > > > > >
>
>
>
* 부총 이방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순신은 충신입 니다. 이러한 자가 십여 명만 있다면 왜적에 대 해 무슨 걱정할 것 이 있겠습니까. > > > > > > > > > > > > > > > > > > > >
(선조 32년 (1599) 1월 6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급사 거관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죽은 이를 후대 하여야 산 자가 충성을 다하는 법입니다. 이 > > > > >순신 같은 사람 에 대 해서는 자손을 등용하고 봄 가을로 치제하는 일은 제가 말씀드리지 않아도 필시 잘 거행하실 것 입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선조 32년 (1599) 1월 21일) > > > > > > > > > > > > > > > > > > > >
>
>
>
>
명나라 장수들 : 우리도 이순신 있었으면 소원이 없겠다!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