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 "요동 을 되찾지 못 한 것 은 국가에 다행한 일이다" 

컨텐츠 정보

본문

17455486197932.jpg



미갤에 만주 점유에 대 한 이야기가 있길래, 정약용이 말한 요동 론을 올려봄.
정약용은 요동 을 경영할 능력이 없기에, 되찾지 못 해서 국가에 다행이라고 평가함.



=====================================================

고구려 때는 강토를 멀리 개척하였다. 그 북부는 실위(室韋)[지금의 만주로 또한 북부에 들어있다]에 접했고,  
그 남부는 개모(蓋牟)[지금의 산해관(山海關) 이동 이 모두 그 땅이다]에 이르렀다.

고려 이래로부터 북부남부는 모두 거란이 차 지하였고, 금, 원 이후 다시는 우리 것 으로 되찾지 못 하였고 
압록강 일대 가 천연의 경계를 이루게 되었다.

우리 세종, 세조 때에 이르러 마천(摩天) 이북으로 천리의 땅을 개척하고 육진을 바둑돌처럼 설치하였으며, 
밖으로는 창해에 닿았다. 그러나 요동 은 끝내 되찾지 못 하였다. (다른 여러) 논자는 그것 을 유감으로 여긴다.


신(臣)은 요동 을 되찾지 못 한 것 이 국가에 다행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요동 은, 화이(華夷)가 왕래하는 요충지이다. 
여진은 요동 을 지나지 않으면 중국 에 도달할 수 없고, 선비, 거란은 요동 을 얻지 않으면 그 적을 제어할 수 없으며, 
몽고는 요동 을 지나지 않으면 여진과 통할 수 없다. 

진실로 삼가고 온순하여 무(武)가 없는 국가가 요동 을 차 지하고 있다면 그 해는 이루 말할 수 없을 것 이다. 
화친하면 사신을 맞아들  이는 큰 비용과 병정을 징발하는 부역 에 한 나라의 힘이 고갈되어 지탱할 수 없다. 
화친을 잃으면 사면이 적이니 병화가 없는 때가 없을 것 이므로 한 나라의 힘이 고갈되어 지탱할 수 없다.


이조(二祖 : 태조와 태종) 때는 대 명이 북경에 도읍을 정하여 요동 과 심양의 사람 들이 기내의 백성이 되었으니 이를 엿보아도 
차 지할 수 없었다. 설령 요동 과 심양이 오히려 여러 오랑캐에 속했다 해도 이조(二祖)께서 이를 취하지 않았을 것 이니 어째서인가? 
척박한 황무지로 이득이 없는 땅을 얻고 천하에 적을 늘리는 행동 은 영명한 군주라면 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 당 때에도 오히려 주, 진 때의 옛 일을 살펴 도읍을 관중에 정한 후에 위세를 얻어 천하를 제어하였다. 
고로 중국 의 지략가들이 논한 바는 오로지 동 서 이경(낙양과 장안 )의 우열뿐이었다.

대 명의 성조 문황제는 세상을 뒤덮을 뛰어난 지략이 있었으나 강성한 몽고와 여진을 멀리서 제어할 수 없음을 알았기에 
마침내 대 명[부](大名[府] : 北京)에 귀속시켰다. 이후 중국 의 주인은 이를 바꾸지 않았고 대 명[부]는 중국 의 도읍이 되었다. 
이러한즉, 요동 에 대 해 다시 말할 수 있었겠는가?

또 우리나라의 지세는 북으로 두 강[두만과 압록이다]을 경계로 삼고, 삼면이 바다에 둘러싸여 강역 의 형태가 
혼연히 천혜의 요새이니 요동 을 얻는 것 은 반대 로 군더더기를 붙이는 것 이다. 어찌 유감으로 여기겠는가?


그렇지만 진실로 나라가 부강하고 병사가 강성하여 하루 아침에 천하를 다툴 뜻이 있고 한걸음이라도 중원을 엿보려 할 경우에는, 
먼저 요동 을 얻지 않고는 할 수 없다. 어쨌든 서로 요동 을 얻고 동 으로 여진을 평정하고 북으로 경계를 넓혀 
흑룡강의 근원까지 올라가고 우측으로 몽고와 버틴다면 충분히 큰 나라가 될 수 있으니 이 또한 하나의 통쾌한 일이다.

=====================================================

-정약용, 요동 론-



두줄요약 : 설령 요동 을 점령했다고 하더라도, 경영할 능력이 없고, 이득이 될 것 도 없음.
              만약 천하를 다툴 정도로 나라가 부강한데, 천하를 다투려고 한다면 요동 을 먹어야 되긴 함.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56,787 / 1 페이지
RSS
번호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