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많은 장병들이 목숨 잃은 육군 최악의 비전투손실 

컨텐츠 정보

본문

17394451786953.jpg
 
 
1996년  7월 26~28일 강력한 집중 호우가 내리기 시작 한다
 
 
 
17394451787383.png

 
1739445178806.png


17394451788535.png


- 물에 잠긴 경기도 연천 지역  - 
 
 
 
 
17394451789041.jpg


- 1996년  폭우 당시 - 
 
 
 
1739445178956.jpg


 
400mm가 넘는 집중 호우가 쏟아졌고 그로 인해 
 
둑이 무너지고 물이 넘쳐
 
경기도 북부 지역 과, 강원도 철원, 화천, 인제, 춘천 등도 수해 피해를 입었다
 
집중 호우에 의해 주민들이 큰 피해를 입었고 그것 은
 
 군 부대 도 마찬가지였다.
 
 
 
17394451792087.png

 
 
당시 수해를 입었던 지역 에 주둔하고 있던 부대 들도 
 
호우로 인해 취침 중이던 새벽 시간 큰 피해를 입게 된다.
 

 
17394451792715.png

 
 
군 부대  특성상 기지 엄폐와 포탄 낙하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산을 방패 삼아 막사를 설치하는 데 집중 호우로 산사태가 일어나 
 
엄청난 양의 토사가 막사를 덮친 것 이다.
 
 
 
17394451793309.png
17394451793991.png
 
- 산사태로 인해 파괴된 15사단 예하부대  막사 - 
 
 
거기다 당시 피해를 입은 부대  막사는 내구성이 빈약한 조립식 막사가 많았고
 
수 백톤이 넘는 토사에 그냥 쓸려버렸다.
 
 
 
17394451794689.jpg


 
당시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대 마리에 주둔 중이던 
 
5사단 29연대  2대 대 의 경우 새벽 4시 25분쯤 토사에 휩쓸렸고
 
 취침 중이던 47명의 병력을 덮쳤다.
 
 
 
17394451795189.png
17394451796154.png


 
5사단 뿐 아니라 15사단 예하 공병/수송/보병 중대 가 있던 막사를
 
토사가 덮쳐서 당시 57명의 인원이 매몰됐다.
 
(당시 피해를 본 육군 사단 중 5사단, 15사단의 피해가 특히 컸다)
 
 
 
17394451796929.png


- 당시 산사태로 파괴된 막사와 장구류들 - 
 
 
 
17394451797977.png


 
그 외에도 3사단, 6사단, 7사단, 25사단 예하 부대 의
 
간부, 병사들도 급속히 불어난 급류와, 산사태 등에 휩쓸려
 
큰 피해를 입게 된다.
 
 
5사단 29연대  생존자는 당시 자신이 살아있는 것 이 놀라웠고
 
흙더미에 파묻혀 튀어나온 동 료들의 손과 발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고 밝혔다 

 

 
 
17394451798704.jpg


 
피해는 육군 뿐 아니라 공군도 입었는데
 
대 성산에 있던 공군 레이더 기지도 피해를 입었다.
 
(당시 목격자에 따르면 대 성산에 있던 레이더가 쓸려내려와 흙바닥에 박혔다고 한다)
 
 
 
17394451799249.png
 
17394451799878.png

 
 
부상당한 인원들은 강원도 춘천 병원으로 긴급 후송됐으나 
 
산사태에 의해 발생한 중상자와 부상자가 너무 많았다.
 
 
 
17394451800575.png
 
 
매몰된 병력들을 구조하기 위한 작업이 진행됐으나
 
불어난 강 수위와 파괴된 도로로 인해 인력과 중장비 접근이 어려웠고 
 
그로 인해 큰 시간적 손실을 입게 된다.
 
(5사단 29연대 의 경우 인근 주민 한 분이 본인의 포크레인을 몰고와서 작업을 도왔다)
 
 
 
17394451801163.png
 
 
매몰된 인원들을 구조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했으나
 
 집중 호우와 산사태로 인해 안 타깝게도 59명의 장병이 순직한다.
 
(최종적으로 도합 60명)
 
 
 
 
17394451801745.png




 
96년  7월 홍수와 산사태로 인해 60명의 장병이 순직한 후 
 
국방부는 호우 시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큰 곳에 위치한 일부 막사를 이전하고
 
막사에 방호벽 등의 안 전 장치를 설치하고 위험 지역  부대 들에 대 한 
 
안 전 점검을 실시한다.
 
 
 
사고가 난 부대  지역 은 당시 180mm 이상의 집중 호우가 쏟아지고 있었지만
 
산사태에 대 한 경고나 대 피 방송도 없었으며 
 
전술적 이유라곤 하나 위험한 경사지 등에 막사 건립, 
 
부대  관리를 소홀히 한 군과 국방부에 대 한 비난은 상당했다고 한다

 

 
 
17394451802151.jpg
 
 
또한 96년  수해는 인명 피해 뿐 아니라 부대  안 에 있던 각종 포탄과, 탄약 등을
 
대 량으로 유실시켰고 (약 860톤 분량) 피해를 막기 위해 
 
이것 을 탐색하고 회수하는 데도 많은 시간이 걸렸다.
 
 
 

17394451802571.jpg


 
 
제 3사단 백골부대  순직자 >
 
 
하사 허정
 
일병 최영규, 일병 윤진섭 
 
 
 
1739445180298.jpg


 
제 5사단 열쇠부대  순직자 >
 
 
중사 오명신
 
 
병장 김철우, 병장 이완희, 병장 권수한
 
 
상병 원세진
 
 
일병 권기봉, 일병 이상복, 일병 정명진, 일병 이상필, 일병 최용혁
 
일병 신동 재, 일병 윤덕한, 일병 이관준, 일병 이면우, 일병 김유정
 
일병 이승준, 일병 변진환, 일병 김현철, 일병 오왈선, 일병 김만기
 
일병 이종호, 일병 배무열, 일병 엄상용, 일병 김준모, 일병 임준원
 
 
 
 
17394451803429.jpg

 
제 6사단 청성부대  순직자  >
 
 
중위 임상효 
 
소위 이종우 
 
상병 김덕만, 상병 오찬동  
 
 
 
 
 
 
17394451803832.jpg


 
제 7사단 칠성부대  순직자 >
 
 
이병 권정태 
 
 
 
 
 
 
17394451804272.png


 
 
 
 
제 15사단 승리부대  순직자 >
 
 
 
소위 임항식, 소위 김상훈
 
 
상사 이강옥 
 
 
병장 채익순, 병장 이승엽, 병장 김경곤
 
 
상병 이승희, 상병 김상철, 상병 신현창, 상병 한동 훈, 상병 이효승
 
 
일병 조기용, 일병 김성식, 일병 강제성, 일병 김홍석, 일병 김훈희
 
일병 김기원, 일병 김종구
 
 
이병 김기동 , 이병 박일동 , 이병 권성호, 이병 박욱진, 이병 정용섭
 
 
 
 
 
17394451804627.jpg


 
 
제 25사단 비룡부대  순직자 >
 
 
일병 신유현 
 
 
 
 
 
17394451805233.jpg



 
 
공군 대 성산 레이더 기지 순직자 >
 
 
병장 엄현상, 병장 박한성
 
상병 권영걸 
 
 
 
  96년  홍수/산사태 사건으로 인한 인명 피해는  >
 
전쟁/전투 상황 이 아닌 평시에 일어난 비전투손실 중에서 >
 
159명이 순직한 1974년  해군 YTL30호 침몰 사건과 함께  >
 
가장 큰 규모의 사건 중 하나다. >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42,036 / 1 페이지
RSS
번호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