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권 국가들에서 '국가 지정 표준어'라는 게 없는 이유
컨텐츠 정보
- 5 조회
-
목록
본문
>
>
>
>
>
>
>
영어 는 국가 지정 '표준어'라는 것 이 없고 >
몇개의 대 표적인 민간 영어 사전을 기반으로 자연스럽게 표준어가 형성됨. >
>
>
예를들어 >flower >(꽃 )이라는 단어에 대 해서 >
>
"영어 표준어에서 >flower >라는 단어가 >ftktogb > >로 바뀌었으니 >
앞으로는 >flower >쓰지 말고 >ftktogb >라 쓰기 바란다. >
미국 (또는 영국)의 국립국어원 결정이니 무조건 그리 하라" >
>
이런 소리 들어본 적 없음. >
>
만약 이런 일이 있으면 영어 원어민 > 사람 들 뿐만 아니라 >
>
영어 배우 는 다른나라 사람 들도 어처구니 없어 할 것 임. >
>
" >flower >라는 단어 외워서 쓰고 있는데 >
앞으로는 > >ftktogb > >라고 쓰라고? >
왜?" >
>
이렇게 분노 폭발할 것 임. >
>
이처럼 >
>
한국 국립국어원이 짜장면에 대 해서 "앞으로는 자장면이 표준어이니 그리 쓰라" 한 것 에 대 해서 >
한국 사람 들 뿐만 아니라 한국 어 배우 는 외국 인들도 매우 분노 했을 것 임. >
"짜장면이 갑자기 자장면으로 바뀌었다고? 왜?" 하면서. >
>
>
왜 영어 권 국가들에서 '국가 지정 표준어'라는 게 없을까. >
>
'국가 지정 표준어'라는 게 사실은 >
국어 관련 어느 기관의 최고위직 극소수가 정하는 것 이기 때문. >
>
그들의 의견이 국민 전체를 대 표할 수 없을 뿐 아니라 >
학자들 중에서도 극소수에 불과한 사람 들의 의견에 불과. >
>
짜장면을 자장면으로 바꾼다고 했을 때 국어학자들 중 몇명이나 이에 찬성했을까. >
찬성자 거의 없었을 것 이다. >
>
국어학자들 중에서도 극소수에 불과한 국립국어원 최고위직 한두명이 우겨서 >
그러한 이상한 사태가 발생한 것 이고 >
>
효과를 '효꽈'라 발음하지 말라는 것 도 마찬가지. >
(그럼 성과는 '성꽈'로 발음해도 좋다는 이유는 또 무엇인가.) >
>
표준어라는 것 은 >
'다수의 사람 들이 쓰는 말. 제일 보편적으로 쓰이는 말'을 뜻한다. >
>
그래서 일제 때 조선어학회도 한글사전 만들 때 >
제일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단어들을 선발하여 정리 했던 것 . >
>
표준어라는 것 은 국민(사용자)이 정하는 것 이다. >
>
이러한 당위성은 세종대 왕도 역 시 전혀 조금도 침해하지 않음. >
>
영어 권 국가들이 '표준어'라는 것 을 지정하지 않는 이유도 마찬가지로 >
언어는 대 중(사용자)이 스스로 만들어 쓰는 것 이기 때문. >
>
꽃 이라는 말도 처음에는 '신조어' 였고 >
바다라는 말도 마찬가지. >
모든 단어가 처음에는 신조어였고 >
사용자들이 선택하여 보편적으로 쓰이게 된 말이 자연스럽게 표준어가 되는 것 . >
>
(사용 안 하게 되면 그 단어는 자연스럽게 사라짐.) >
>
단어든 발음이든 문법이든 >
언어는 >대 중(사용자)이 결정하는 것 . >
>
>
예전에 '국정 교과서 사태'라는 게 있었는데 >
역 사교과서를 국가 기관이 독점적으로 만들어서 그것 만 교과서로 쓰겠다는 것 . >
>
이것 이 왜 거대 한 반대 를 불러왔을까. >
>
그 교과서 만드는 극소수 역 사학자의 의견을 >
전체국민들에게 강요하겠다는 것 이어서. >
>
그 몇명의 의견이 어떻게 국가 전체의 의견을 대 표할 수 있다는 것 인가. >
>
>
'국가 지정 표준어'라는 것 도 이와 같음. >
>
극소수의 의견을 어떻게 국민들에게 맹목적으로 강요할 수 있다는 것 인가. >
>
국립국어원 고위직이라는 '감투' 쓰면 그래도 된다는 것 인가? >
>
>
한국 에서도 예전에는 국립국어원이 멋대 로 표준어 바꾸고 정하는 이상한 짓 없었음. >
>
근데 언젠가부터 갑자기 [표준어는 국민이 정하는 것 ]이라는 대 원칙을 무시하는 이상한 짓들이 벌어짐. >
>
'국립국어원의 표준어'라는 거 정하지 마라. >
>
대 표적인 한국 어 사전 몇개를 기반으로 >
자연스럽게 표준어가 형성되면 된다. >
선택은 국민(사용자)이 한다. >
>
한국 어가 영어 보다 못 하다고 전혀 생각하지 않으며 >
>
표준어라는 것 에 대 한 당위성을 보는 것 . >
>
>
>
>
>
>
>
>
>
>
>
>
>
>
>
>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