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의 물가는 세계적으로 어떤 수준 인가
컨텐츠 정보
- 9 조회
-
목록
본문
한국 은행+oecd 통계에 의하면
주요국과 비교시 국내 식료품 및 의류 등 필수소비재의 가격과 집값은 타 국가대 비 매우 상당히 높고, 가격격차 도 품목별로 매우 큼
반면 정부정책 의 직,간접적 영향으로 공공요금이나 월세는 주요국 대 비 상당폭 낮게 유지됨
식료품, 의류, 주거 등 의식주 비용은 OECD 평균보다 매우 크게 높은 반면, 전기/가스, 교통 등 공공요금은 크게 낮은편.
또한
주택 임대 료 및 소득대 비 집값 비율(PIR) 등 주거비용도 주요국 대 비 상당히 높은 상황 .
+ 식료품에서는 사과, 쇠고기, 감자 등 농축산물 중심으로 OECD 평균보다 매우 높고, 옷, 구두 등의 필수 소비재 의류도 가격이 타 국가대 비 상대 적으로 매우 높음
식료품과 의류와는 다르게 공과금 전기 가스 그 외 교통 수도 등
에너지 및 공공 기반 인프라 비용은 타국가대 비 매우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음
2 집값
집값 비교시 한국 은 타국 대 비 매우 기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음
타 주요 국가들은 국부 자산에 부동 산 비중이 30% 미만인 반면
한국 은 부동 산에 가계 자산이 80%에 육박할정도로 토지자산에 쏠려있음
또한 한국 의 부동 산 관련 세금 부담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편 >
특히 2021년 기준 한국 의 GDP 대 비 부동 산 관련 세금 비중은 6.274%로, OECD 38개국 중 압도적인 1위. >
이는 2위인 영국(4.337%)과 약 2% 격차 를 보이며, OECD 평균(1.986%)의 약 3배 수준 . >
Oecd 기준 우리나라의 GDP대 비 땅값(토지자산총액)은 501%이고, GDP 대 비 부동 산값은 786%인데 이는 다른 국가들보다 200%p 이상 차이 가 날 정도로 월등히 높은 상태. >
한국 은행 자료에 따르면 전세계 수도 비교시 한국 연소득 대 비 주택가격, 즉 한국 집값 PIR 지수 기준
세계에서 가장 높은축이라는걸 보여주는 반면
원룸 기준 월세는 타국가대 비 현저히 낮음.
하지만 국가대 비 현저히 높은 보증금+소득대 비 수도 권의 높은 집값이 월세를 상쇄하여 oecd국가 중 주거비 부담이 매우 큰 나라로 분류됨
2.줄 요약
1.한국 의 월세 및 공과금(수도 전기 가스 교통 비용)은 세계 주요국가 중 소득대 비 최저 수준 >
2. 반면 한국 의식주와 같은 필수소비재 비용부담은 oecd 중 매우 높은 수준 >
교육분야도 넣을려다 애매해서 제외시킴..공교육 부분에서도 한국 은 미국 다음으로 지출비용이 높은 편이고 사교육은 gdp대 비 가장 부담이 큼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